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05.17

우리나라가 김장김치를 했다는 최초의 기록은 어떤건가요?

김치는 누가뭐래도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인데요.

그런 김치는 언제부터 우리 조상들이 하신건가요?

역사적인 자료나 기록으로 봤을때 언제부터 만들어 드신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7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치가 본디 겨우 내 먹을 채소를 대량으로 만들어 저장해 두기 위해 만들어진 음식이기 때문에 김치의 역사가 곧 김장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김장의 역사를 입증해 주는 가장 오래된 유적은 속리산 법주사의 돌항아리로, 성덕왕 19년(720년)에 설치되어 삼천여 명의 승려를 위한 김칫독으로 사용되었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어 이때에 이미 김장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김장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고려 시대 문헌에서부터 확인된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실린 〈가포육영〉 중 '무를 장에 넣으면 한여름에 좋고, 소금에 절이면 긴 겨울을 버틴다'의 기록은 당시의 김장 문화를 잘 보여 줍니다.

    김장은 평균 기온이 4 ℃ 이하로 유지될 때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옛부터 겨울의 시작인 입동(11월 7~8일)부터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 얼음이 얼고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소설(11월 22~23일) 전후를 적기로 여겨 왔습니다. 이는 김치의 주재료인 채소가 얼기 전에 하는 것이 좋고, 날씨가 너무 따뜻할 경우 김치가 쉽게 시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김장 시기가 점차 늦어지는 추세이며, 겨울철에도 쉽게 채소를 구해 김치를 담글 수 있어, 김장을 하지 않는 가정도 늘고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김치_김장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고시대부터 있었다고 할수 있으며 삼국지 위지동이전에 고구려에서 발효식품을 만들어 먹었다라는 기록과 삼국사기에도 김치와 비슷한 발효식품이 기록되어있는데 , 김장 역시 김치의 어원과 같은 시대로 소급할수 있을 정도로 오래된 풍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