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3.06.29

조선시대에 정치의 핵심인 붕당정치는 무엇인가요?

예전에 조선 시대의 정치 체계가

비슷하게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현재 여당, 야당 체계가 과거에도 비슷하게 있었다고 하던데,

조선 시대의 정치 체계인 붕당정치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붕당정치는 양반들이 특정 지역, 학문, 정치적 입장을 공유하여 구성한 정치 집단입니다. 붕당은 지역적, 학문적, 이해관계에 따라 형성되었으며, 이는 현대의 정당과는 달리 정치적 견해를 중심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붕당이라는 용어로 불립니다.

    분당정치는 공론을 기반으로 상호 비판과 견제를 통해 균형을 유지하고 공존을 원칙으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붕당은 주로 정파나 학파의 성격에 따라 당을 구분하였습니다. 16세기 말부터 양반층은 붕당을 형성하여 정치를 주도하였고, 17세기에는 권력의 기반을 굳히기 위해 병권까지 장악하였습니다.

    조선시대의 붕당정치는 양반들이 서로 다른 이익과 정치적 목표를 추구하며 경쟁하고 협력하는 과정에서 조선 정치를 운영하였습니다. 이러한 붕당정치는 조선시대 정치의 특징을 나타내며, 양반층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붕당은 정치적 이념과 이해관계를 공유한 신하들이 왕권을 흔들거나 지원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거나 협력하는 집단이었습니다. 조선 시대 정치의 핵심은 왕과 신하들의 관계를 규정하는 제도인 붕당 정치였습니다. 붕당 제도는 조선 왕조의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붕당 정치의 원리는 복수의 붕당이 상호 견제와 협력을 통해 정치를 운영하는 것이다. 특징은 합좌기구인 비변사를 통해 여론을 수렴하고 공론을 중시하였다. 상대 세력의 견제와 자기 세력의 확대를 추구하여 3사 언관과 이조 전랑의 정치적 비중이 강화되었고, 재야에서 공론을 주도하는 지도자인 산림이 출현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방사족의 의견을 모으는 수단으로써 서원1)과 향교가 중시되었다. 하지만 붕당이 주장하는 공론은 지배층 의견 수렴에 그쳤고 백성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무릇 내외의 관원을 선발하는 것은 3공에게 있지 않고 오로지 이조에 속하였다. 또한 이조의 권한이 무거워질 것을 염려하여 3사 관원의 선발은 판서에게 돌리지 않고 낭관에게 오로지 맡겼다. 따라서 이조의 정랑과 좌랑이 또한 3사의 언론권을 주관하게 되었다. 3공과 6경의 벼슬이 비록 높고 크나, 조금이라도 마음에 차지 않는 일이 있으면 전랑이 3사의 신하들로 하여금 논박하게 하였다.··· 이 때문에 전랑의 권한이 3공과 견줄 만하였다. 이것이 바로 크고 작은 벼슬이 서로 엮이고 위와 아래가 서로 견제하여 300년 동안 큰 권세를 농간하는 신하가 없었고, 신하의 세력이 커져서 임금이 제어하기 어려웠던 근심이 없었던 까닭이다.

    주자학적인 세계관을 신봉하는 사류(士類)가 이념 집단을 형성하고 공도(公道)에 바탕을 둔 공도 정치를 표방하면서, 자신들의 의사를 집약한 당론(黨論)을 매개로 하여 현실 정치의 헤게모니를 추구하는 정치 체제를 말한다. 붕당이란 붕(朋)과 당(黨)의 합성어로서, ‘붕’은 ‘동사’(同師)·‘동도’(同道)의 사류, 즉 같은 스승 밑에서 의리(義理)인 도를 동문수학하던 무리(벗)를 말하며, ‘당’은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모인 집단을 지칭한다. 일제 어용학자들은 ‘붕당지쟁’(朋黨之爭)의 줄인 말인 당쟁(黨爭)이라는 용어를 강조함으로써, 당파성과 분열성을 우리 민족의 고질적인 병폐라고 지적하고 이를 식민 통치에 이용하기도 했다.

    유교 정치 사상사의 맥락에서 붕당은 당초 부정적인 금기의 대상이었다. 중국의 경우 전국 시대(戰國時代) 이전까지는 붕당을 막아야 한다고 주창될 정도였으며, 통일 전제 국가가 성립된 한(漢)·당(唐) 시대에는 정치는 군왕(君王)의 전관 사항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어서 붕당을 죄악시했다. 그러나 송대(宋代)에 이르러 구양수(歐陽脩)의 ‘붕당론’과 주자의 ‘인군위당설’(引君爲黨說)에 의해서 그러한 붕당관이 바뀌고 그대신에 공도를 추구하는 이념 집단으로서 붕당의 존재 의의를 인정받게 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 초기에 훈구세력이 한·당대의 붕당론을 이용하여 신진 사류의 발흥을 막기 위한 사화(士禍)를 일으킨 반면, 신진 사류는 훈구 세력을 구양수와 주자의 붕당론을 근거로 하여 ‘소인(小人)의 당’으로 규탄했다.

    일제 식민사학자들은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우리 역사와 민족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역사 인식을 만들어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당파성론이고, 당쟁은 이 당파성론의 구체적 근거 중 하나였다.


    19세기 말 우리 나라 학자들 중에서 당시의 유교 정치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흐름이 있었지만, 그것은 양반정치의 한계를 청산하고 새로운 정치 질서를 세워 보고자하는 의도에서였다. 그러나 일제 식민 사학자들은 우리 민족의 정치적 역량을 부정하고 나아가 식민통치를 합리화시키기 위해 고의적으로 조선의 정치 = 당쟁이라는 등식 아래 부정으로 일관하면서 조선 정치사를 짜나갔다. 심지어 호소이(細井肇)라는 식민사학자는 인종론적인 견지에서, 당쟁이 장기적으로 진행된 것은 조선 사람의 핏줄에 당쟁을 좋아하는 아주 특별한 검푸른 피가 섞여 있기 때문이라는 망발까지 하기도 했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에는 조선의 정치를 기존의 ‘당쟁’이 아니라 건전한 정치 이념을 공통적으로 지향하면서 상호간의 공존을 인정하는 ‘붕당정치’의 틀로 파악하는 경향이 많아졌다. 즉 정치 운영의 측면에서 정치 세력의 배타적이고 극단적인 대립을 강조하기보다는 상호 갈등을 어떻게 정치적으로 해결해 나가려고 했는가에 더 주목하는 것이다.

    출처 :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붕당(朋黨)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지역적, 학문적, 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입니다. 붕당 정치(朋黨政治)는 학문적 유대를 바탕으로 형성된 각 붕당들 사이의 공존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의 독특한 정치 운영 형태를 말하는 데요. 보통 우리 조선 시대 역사상 붕당이라함은 노론, 소론, 남인, 서인 등과 같은 파벌을 의미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의 이념이나 목표,성향이 같은 무리


    끼리 서로 모여 조직한 당이 반대


    이념을 가진 당에 대하여,서로 견제


    하고,비판하여 정치를 하여 조정,정부


    를 이끌어 나가는것을 말하는데,


    장점과 단점이 발생,


    건전한 방향으로 서로 협력하고,국가를


    위해서 정치를 한다면, 바람직하지만,


    서로 다른 당에 대해서 너무 비판적이고,


    모략중상을 가하여, 당리당략에 이해


    타산에 집착하여,국가와 국민을 생각


    하지도 않고 국가를 망치는 나뿐 결과를


    초래한 경우도 많았읍니다.


    현재의 국회,정부의 여당 야당 서로


    교체하며 시행하는 민주 의회정치의


    원조라 할수 있는데,붕당정치의 필요성


    은 타당한 이유라고 보여지며,붕당정치


    를 하지않을경우,왕이나 소수집단에


    의한 독재정치가 시행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붕당정치는 과거에 관료들이 서로 파벌을 이루어 정권을 다투던 정치 형태입니다.

    지방별 이해관계, 학문의 계통에 따른 견해차, 연령·직위의 고하에 따른 시국관의 차이 등에서 서로 입장을 같이하는 인물들끼리 집단을 형성하여 그에 반대되는 집단과 대립·반목하기 시작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