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세종대왕이 어떤 과정으로 우리만의 달력을 만드게 되나요

세종대왕전에는 중국에서 달력을 수입해와서 사용했다고 하던데요

그러다가 세종대왕때 어떤 과정으로 우리만의 달력을 만드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감동스러운알알이51
      감동스러운알알이51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은 천문학과 수학 분야에서도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달력을 제정했습니다. 1432년 7월 세종은 정인지와 정초, 장영실 등에게 천문 기기의 제작을 명하여 간의, 혼천의, 혼상, 물시계인 자격루, 해시계인 앙부일구 등 백성들의 생활과 농업에 도움을 주는 과학 기구를 발명하게 하였습니다. 세종대왕은 조선의 천문학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관상감을 설립하였으며, 관상감은 오늘날의 기상청으로 천문학 관측과 연구를 위한 중심 장소로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주변국의 역법을 참고하여 역서인 칠정산 내편과 칠정산 외편을 편찬하여 천체 운동을 정확하게 계산함으로써 독자적인 역법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달력은 조선 시대의 농업과 일상생활에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은 단순히 새로운 달력을 만든 것이 아니라, 천문학적 관측과 수학적 계산을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정확한 달력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1413년부터 1433년까지 20년 넘게 지속적인 천문 관측을 실시했습니다. 당시 사용하던 고려시대의 칠정산은 정확도가 떨어졌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관측을 진행했습니다.새로운 천문 관측 자료가 축적되면, 이를 반영하여 달력을 지속적으로 개선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세종대왕은 20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끊임없는 노력과 탐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정확한 우리만의 달력을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