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3.12.11

고려는 어떻게 멸망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고려거란전쟁 드라마를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고려도 멸망한 나라 였었잖아요~ 고려는 어떻게 멸망하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왕조의 멸망 배경은 고려말의 정치·경제·군사적 측면의 변질과정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일련의 개혁이 실패한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고려 말,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이 잦았는데 이때 큰 공을 세운 대표적 무인이 최영과 이성계, 즉 신흥무인세력이었습니다. 신진사대부는 온건파와 급진파로 나뉘는데, 급진파의 정도전과 무인 이성계가 의기투합하여, 이성계를 왕으로 내세우며 조선을 건국하기에 이릅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멸망의 이유는,

    고려 의종 시대 때 벌어진 무신정변의 결과로 사회가 혼란스러운 데다가 이후 쳐들어온 원의 지배로 더더욱 백성들은 살기 힘들어 졌습니다.

    공민왕 때의 개혁으로 어느정도 회복은 했지만 , 여전히 고려는 바람앞의 등불과도 같은 나라였습니다. 명나라가 무리한 공물을 요구하는 등 압박을 해오다가 철령 이북의 땅을 직속령으로 삼겠다고 통고해오자 최영이 요동 정벌을 주장하게 되었습니다.

    마침내 우왕 14년애 최영이 8도도통사가 되고 조민수는 좌군도통사, 이성계는 우군도통사가 되어 요동정벌에 나서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요동정벌에 비판적인 입장이었던 이성계는 사불가론을 들어 출병을 반대사였습니다

    첫째는 소국이 대국을 거역하는 것은 불가한 일이고,

    둘째는 여름에 군사를 동원하는 것은 농사에 지장을 초래하니 불가한 일이고,

    셋째는 원정을 틈타 왜적이 침입할 우려가 있으니 불가한 일이고,

    넷째는 장마로 인해 활에 먹인 아교가 풀릴 염려가 있고 군사들이 병에 걸릴 우려가 있으니 불가한 일이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결국 이성계는 조민수와 함께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개경에 돌아왔습니다.

    회군한 이성계 일파는 반대파인 최영 등을 제거하고 우왕을 폐위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였습니다그리하여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말은 신진사대부와 신흥무인세력의 힘이 강했던 시기인데, 신흥무인세력의 축이었던 이성계가 요동의 정벌하기 위해 떠났던 군대를 위화도에서 회군하면서, 혁명을 일으켜 결국 고려는 망하고,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조선의 첫왕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3세기 초 몽골의 후대 군주 팀루그가 고려에 대해 침략을 강요, 1231년부터 1259년까지 여러 차례 몽골의 침입을 받았고 결국 1259년 고려가 몽골에 복종하게 되면서 고려의 군사적 약화와 정치적 독립 손실을 가져오게 됩니다.

    14세기 홍건적이 중국에서 침입해 고려를 공격, 이로 인해 고려는 큰 피해를 입었고 홍건적은 고려의 수도인 강화도를 점령해 고려의 다른 지역으로 피난한 인구들에게 피해를 입히게 됩니다.

    고려시대 후반 군주들 간의 권력싸움, 내부 분쟁이 발생, 왕권의 약화와 지방적인 권력의 증가로 사회적 불안이 증가, 12세기 말부터 13세기 초 여진족이 고려의 북쪽 지역을 공격해 국경지역에서 전쟁이 발생, 여진족과의 지속적인 충돌은 고려의 국토를 약화시키고 사회적 불안ㄴ을 가중시켰고 1392년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면서 멸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왕조는 우왕 14년 즉 1388년 5월 요동 원정군에 의한 군사 반란 즉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멸망하였는데 반란을 주도한 이성계와 그의 추종 세력들에 의해 왕권이 탈취되어 조선왕조가 건국되기까지는 만 4년의 기간을 거쳐야 했습니다 따라서 고려 왕조의 멸망 과정은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에 의한 권력 장악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그 순서라 하겠습니다 따라서 고려 왕조의 멸망 배경은 고려말의 정치 경제 군사적 측면의 변질 과정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일련의 개혁이 실패한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와 같은 경우

    이성계와 그를 추종하는 세력에 의하여

    멸망한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우왕과 최영장군은 중국에서 원나라를 멸망시키고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이 과도한 조공과 철령이북 땅을 요구하자 요동을 정벌하고자 계획을 세웁니다. 이성계를 대장군으로 삼아 요동정벌에 나서게 하였으나 이성계는 4불가론을 주장하며 위화도에서 회군함으로써 군과 민심을 얻게 됩니다. 우왕과 창왕을 폐위시키고 허수아비인 공양왕을 옹립한 뒤에 양위를 받은 형식을 빌어 이름하여 역성혁명으로 왕이 됩니다. 1392년 태조에 등극함으로써 조선이 개국된 것입니다. 이로써 고려 500년의 역사는 끝이나고 조선의 역사의 장이 열리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