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1.13

건물에 결로 현상이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추운 겨울이 되면 건물 외벽에 물기가 생기는 것을 알볼수 있는데 이것이 결로 현상이라고 하던데, 이렇게 결로 현상이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겨울철에 발생되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 입니다.

    따뜻한 실내의 공기가 차가운 실외벽 등을 마주치게 되면 열을 뺏겨 액화가 되게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건물 외벽에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은 주로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따뜻한 내부 공기가 외부의 차가운 벽면과 만나면서 발생하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따뜻한 실내 공기가 외벽과 만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외벽에서 응축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결로 현상인데,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벽면에서 냉각되면 수증기는 액체로 변환되어 물방울 형태로 벽면에 생기게 됩니다.

    결로는 주로 고습한 환경이나 충분한 절연이 이루어지지 않은 벽면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외부에서의 온도 변화나 벽체 내부에서의 습도 차이가 큰 경우에 이 현상이 더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결로 현상은 그 자체로는 큰 문제가 아니지만,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면 벽면의 습기로 인해 곰팡이나 곰독성 성장에 이르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건물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적절한 절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고, 외벽을 충분히 절연하여 습기 차단을 하는 것이 결로 현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로 현상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체의 표면에 맺히는 현상입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응결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겨울철에 실내외의 온도차가 크면 실내의 공기 중의 수증기가 실외의 차가운 표면에 닿아 맺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표면 결로와 내부 결로가 있다. 표면결로는 벽과 배관, 유리면의 표면온도가 낮아지고 표면 부근의 공기 온도가 결로 온도 이하로 되면 발생하는 이슬맺힘 현상을 말한다. 표면이 결로수에 의하여 습기를 머금고 때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발생원인은 외부온도 와 실내온도의 차이가 클 경우, 내부습도가 상당히 높을 경우 등. 방지대책은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것. 빨래 등 습기있는 물건을 실내에 널지 말것. 건조한 공기를 자주 환기 시킬 것 등이다.


    실내 습도가 높으면서 실내외 기온차가 클 경우 실내 온도에 비해 내벽 온도가 낮아 내벽에 결로 현상이 생기기 쉽다.


    이 문제는 특히나 온돌 난방을 사용하는 한국 주거 방식의 주적인데, 추운 겨울을 나는 동안 온돌로 바닥 난방을 하고 주택 전체의 온기를 올려서 난방을 하는 데다 집안에서 주방일, 화장실 등 물을 쓰는 공간이 많으면 많을수록 집안 내 습기가 벽면에 달라붙어 결로를 일으키고 이 때문에 벽면에 곰팡이는 물론 여러 부작용이 발생한다. 서양식 목구조 건물에서 벽난로를 쓰는 건 이 결로를 막는 데 아주 좋은 대안이나 한국에서는 그렇게 설계하면 내부화재에 매우 취약해지기 때문에 방법이 없다.


    단열재 시공을 잘 하면 결로 현상은 줄어드는데, 부실시공의 경우엔 그렇지 않기 때문에 결로현상이 반복되다가 곰팡이가 만개하기 쉽다. 결로가 잘 생기는 공간이 베란다, 대피실, 실외기실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곰팡이가 생긴 건축물은 구조적 문제이기 때문에 곰팡이를 제거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생기며, 완전히 없앨 방법이 없다. 신축 건축물은 콘크리트 안에 약간의 수분을 머금고 있어 수분이 수증기가 되어 결로현상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결로 현상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더 낮은 온도의 벽면이나 창 등의 면에 닿아 온도차로 인해 표면에 이슬로 맺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건물 안팎의 온도차가 심하게 발생하고 창문이나 외벽이 차가워지면서 따뜻한 공기가 맞닿아 결로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습한 날 유리창이나 찬 음료가 담긴 컵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내부 결로를 방치하면 건축물의 부식 뿐 아니라 곰팡이까지 발생하고, 발생한 곰팡이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주기적인 환기와 실내 습도 조절, 적정 온도 유지는 결로 방지에 도움됩니다. 따라서 온도차와 습기를 잡아주어 결로를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단열 시공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로 현상은 결국 안과 밖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것입니다.

    단열을 제대로 하면 이 현상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100% 제거는 힘들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3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로 현상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더 낮은 온도의 벽면이나 창 등의 면에 닿아 온도차로 인해 표면에 이슬로 맺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건물 안팎의 온도차가 심하게 발생하고 창문이나 외벽이 차가워지면서 따뜻한 공기가 맞닿아 결로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온도는 20도 내외를 유지하고, 습도는 40~60% 정도로 맞춰주면 결로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실내와 실외 사이에 온도 차이가 발생합니다. 실내는 보통 난방으로 따뜻하게 유지되는 반면, 실외는 차가운 기온일 수 있습니다. 실내에서는 다양한 활동으로 인해 습기가 발생합니다. 실내의 상대 습도가 높아지면, 공기는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하게 됩니다.실외의 차가운 기온으로 인해 건물 외벽은 냉각됩니다. 외벽은 공기와 직접 접촉하며, 외부 공기와의 열 전달이 발생합니다.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건물 외벽과 접촉하면, 외벽의 표면 온도는 낮아집니다. 이로 인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외벽 표면에서 냉각되어 이슬이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로 현상은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의 양과 연관이 있습니다 공기 중에 있는 포화 수증기는 공기가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인데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면 포화 수증기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건물 내부에 따뜻한 공기가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만나게 되면 온도가 내려가면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포화 수증기의 양이 내려가게 되는데 이 현상으로 인해서 공기가 가지고 있던 수분이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이 나온 수분이 건물 밖에 맺히게 되면 결로 현상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로는 공기층의 수증기가 찬 것의 표면에 닿을 때 액화하여 물방울이 되는 현상입니다. 따뜻한 공기는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고 찬 공기는 조금밖에 포함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따뜻한 공기가 식으면 포화되어 더 포함될 수 없게된 수증기가 그 공기보다 온도가 낮은 곳의 표면에서 물방울이 됩니다. 결로는 크게 구분하여 실내의 벽, 바닥, 천정 등의 표면에 발생하는 표면결로와 벽 내부와 천정속 등 눈에 띄지 않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내부 결로가 있습니다.
    이러한 결로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는 프레임 밑부분이 인술레이션 미설치 및 인술레이션과 프레임의 틈새 발생으로 인한 결로 발생
    방수·방습·단열공사 결로현상으로부터의 탈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