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어린관박쥐58
어린관박쥐5824.03.24

실제로 통속의 뇌라는게 이론적으로 가능한가요 ?

통속의 뇌라는 글을 읽은적이 있는데요 이게 실제로 육체없이 뇌만 살릴수가있는게 과학적으로 가능한이론인것인지 궁금합니다 영화같은곳에서 뇌만 어디 수액가득차있는 시험관에 들어있고 의사소통하는 이런게 이론적으로는 가능한가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육체 없이 뇌만을 살릴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과학과 철학의 경계에 있습니다. 현재 과학 기술로는 육체 없이 뇌를 독립적으로 살릴 방법은 없습니다. 인간의 뇌는 신체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혈액 순환, 호흡, 영양소 섭취 등 다양한 신체 기능에 의존합니다.

    그러나 과학 문헌과 상상 속에서는 뇌를 인공적인 환경에서 유지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탐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은 '뇌 in a vat' 또는 'ex vivo' 뇌 시스템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이는 뇌에 필요한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고 뇌의 신호를 읽어내는 고급 기술을 요구합니다. 이 이론은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주로 생명 윤리, 의료 기술의 한계, 그리고 뇌의 의식과 인지 작용의 복잡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영화나 공상과학 문학에서 보는 것처럼 수액이 가득 찬 시험관 속에서 뇌가 독자적으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아이디어는 현대 과학과 기술로는 실현 불가능합니다. 뇌 활동은 단순한 전기적 신호보다 훨씬 복잡하며, 의식의 경험과 사고는 몸으로부터의 다양한 감각 입력 및 반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육체 없이 뇌만을 살리고 기능하게 하는 것은 과학 이론의 범위를 넘어 영화와 소설에서만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통속의 뇌라는 이론은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증명된 바는 없습니다. 하지만 미래에 가능할 수도 있으며 현재까지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뇌는 우리 몸의 중요한 기관 중 하나로 신경망과 화학물질을 통해 우리 몸의 다른 부분과 상호작용하며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조절합니다. 그러나 뇌만으로 우리 몸을 살릴 수 있는지는 아직까지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영화나 소설에서처럼 뇌만 따로 존재하고 의사소통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합니다. 뇌는 우리 몸의 다른 부분과 함께 작동하여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조절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른 부분과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미래에 뇌의 기능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한다면 뇌만으로도 우리 몸을 살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는 아직까지는 이론적인 가능성에 불과하며 현재로서는 실제로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미래에 기술이 발전한다면 가능성이 열릴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통속의 뇌"라는 개념은 과학적으로는 현재까지 실현 가능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뇌는 육체와 함께 작동하는 중추기관으로서 다양한 외부 자극과 상호작용하며 기능을 발휘합니다. 뇌만 따로 존재할 경우 외부 자극이나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데 필요한 환경이 부족하여 기능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