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누리함
누리함23.10.31

라디오를 즐겨 듣는데, 라디오가 들리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각 라디오 프로그램마다 주파수가 다릅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송수신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일정하다면, 라디오 주파수도 해킹 감청의 대상이 되기도 하여 무섭기도 하네요. 전자기기 시대 오작동이 많잖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디오는 방속국에서 신호를 보내게 되면 그것을 안테나로 잡아서 소리로 송출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요즘은 기지국이 많아서 라디오 끊김이 심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디오가 들리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방송국에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2. 안테나를 통해 전기 신호를 전파합니다.

    3. 수신기에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합니다.

    4.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출력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디오의 원리는 음성을 전파의 진폭에 실어 멀리까지 보내는 AM(진폭변조) 방식에 있다. AM의 음질은 FM(주파수변조)보다 못하지만 서비스 범위가 넓고, 선호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런데 최근에는 AM에 스테레오를 결합한 'AM스테레오' 방송이 생겨났다.

    AM스테레오 방송은 좌우 두 개의 음성신호를 하나의 전파에 실어 보내 수신자가 전파로부터 좌우음을 분리하여 듣는 구조이다.

    'AM스테레오'는 스테레오 음향을 어디서나 쉽게 들을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로서 기대되고 있다. 소리를 전하는 방송은 AM, FM, FM 스테레오, 텔레비전음성(FM), 위성방송음성(PCM) 등 다양하게 전해지는 소리의 음질도 매우 향상되었다.

    방송국에서 소리나 음악을 전파로 바꾸어서 송신 안테나로 내보내면, 라디오의 수신 안테나는 이 전파를 받아 다시 소리나 음악으로 바꾸며, 이 소리는 스피커를 통하여

    크게 들린다.

    모든 방송국은 각각 다른 주파수(전파의 변화하는 수)로 내보낸다.

    따라서 듣고 싶은 방송이 있을 때에는 라디오의 다이얼을 그 방송국의 주파수에 맞추면 된다.

    음파 → 마이크로폰 → 전파 → 송신기 → 고주파전기신호 → 안테너 → 고주파 전기신호→ 수신기 → 저주파 전기 신호 → 스피커 → 음파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디오에서 나오는 특정 주파수로 인해서 전달되게 됩니다

    특정 주파수로 전달되는 신호를 스피커에 연결해서 공개 떨림으로 변환해서 소리가 전달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디오는 무선통신에 의한 음성방송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합니다.


    송신기에서 방송하고자하는 음성과 음악신호를 반송파라는 지속적인 전자파를 만들어(변조) 송신안테나로 보내면,


    이 안테나에서 복사된 전파가 수신기의 수신안테나에 전압을 유도하는데(동조) 그 중에서 희망하는


    신호를 선택(검파)검출하여 이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방송하는 소리가 나게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AM 방송 AM 송신안테나는 지상과 공중의 두 방향으로 전파를 보낸다


    지상파는 송신안테나에서 나와 지표면에 평행하게 방출된다


    이것은 지표면의 굴곡을 따라 진행하며 짧은거리까지 도달한다


    상공파는 하늘을 향해 발사되어 전리층이라고 하는 대기층에 도달한


    다음 반사되어 지상으로 내려온다


    따라서 AM 방송은 지표의 굴곡 너머까지 도달한다


    전리층이 밤에는 더 높아지므로 AM 전파는 낮보다 밤에 더 멀리까지 도달한다


    그 결과 방송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밤에 더 깨끗한 방송을 들을 수 있다


    FM 방송 FM 송신안테나도 AM 방송파와 같은 방향으로 전파를 발사한다


    그러나 공중으로 송출된 FM 방송파는 전리 충에서 반사되지 않는다


    대신 대기를 뚫고 우주로 나간다지 표면에 평행하게


    송출된 전파는 송신안테나가 보이지 않는 지


    평선 너머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 FM 프로그램은 AM 프로


    그램처럼 전파 방해를 많이 받지는 않는다


    단파 방송 많은 방송국이 단파 방송을 운영한다


    단파 방송은 아주 멀리까지 간다


    그래서 사람이 많이 살지 않는 세계의 구석진 곳에서도 들을 수 있다


    거의 모든 나라가 최소한 한 곳 이상의 단파 방송국을 운영한다


    단파 방송국에서 다루는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의


    청취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디오가 들리는 원리는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파를 통해 송신하고, 수신기에서 이 전파를 받아 음성으로 다시 변환하여 듣는 것입니다. 라디오 송신기에서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 전기 신호는 발진기에서 고주파 전류로 변환됩니다. 이 고주파 전류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로 방출됩니다. 라디오 수신기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수신합니다. 수신된 전파는 변조기에서 음성 신호로 변환됩니다. 이 음성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재생됩니다. 각 라디오 프로그램마다 주파수가 다른 이유는 전파의 주파수가 음성의 주파수와 일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음성이 제대로 들리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송신: 라디오 송신기는 오디오 신호를 전파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오디오 신호는 주파수 변조또는 진폭 변조등의 방법으로 전파에 인코딩됩니다. 이러한 변조된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공기로 전파됩니다.

    2. 전파 전송: 안테나는 전파를 공간으로 방출합니다. 전파의 주파수와 진폭은 송신기에서 설정한 대로 전달됩니다. 전파는 전자기파로서 빛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공간을 통해 전파되어 라디오 수신기에 도달합니다.

    3. 수신: 라디오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수신합니다. 안테나는 전파의 에너지를 받아들이고, 수신기로 전송합니다. 수신기는 주파수 선택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라디오 주파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파를 필터링하고 증폭합니다.

    4. 복조: 수신된 전파는 복조기를 통해 원래의 오디오 신호로 복원됩니다.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는 경우, 라디오 수신기는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해독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합니다. 진폭 변조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기는 진폭 변조된 신호를 해독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합니다.

    5. 출력: 복조된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출력됩니다. 이렇게 되면, 라디오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디오 방송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음성을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전류로 바꾼 후 이를 전파나 통신 케이블을 통해 송신 한 후 수신기에서 받아들여 본래의 음성으로 바뀌어 들을 수 있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