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참신한호박벌102
참신한호박벌10223.04.05

친일파 이완용이 했던 행동들은 무엇이 있었나요?

우리나라에서 친일행동을 했던 대표적인 인물을 뽑으라면, 항상 이완용이 먼저 나오는 것 같은데

이 이완용이 했던 친일 행동들은 무엇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을사조약을 주도적으로 나서서 체결하였고 고종의 강제 퇴위를 주도하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을사조약 체결과 한일합방의 조약문을 체결한게 모두 이완용이 했던 대표적인 친일행각입니다.

    또한 조선 궁궐을 일본 신궁으로 만들자고 조선총독에게 건의했습니다. 현대까지 이완용이 회자되는 이유는 이완용의 결정 으로 왕조 와 조선 수천만 동포를 팔아먹고 조선의 백성들은 일제의 노예로 전락 했다 매국노 중에서도 급이 다른 인물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이완용은 을사오적의 한 사람이며 일본에 나라를 팔아먹은 최악의 매국노로 불립니다 고종을 협박하여 을사늑약 체결과 서명을 주도했고 헤이그특사사건 후 고종에게 책임을 추궁하여 물러날 것을 강요, 순종을 즉위시켰습니다 총리대신으로 일본과 한일병합조약을 체결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러시아 , 미국, 영국 등 강대국으로부터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승인받은 일본은 일진회 등 친일단체를 조직 포섭하여 을사조약의 필요성을 여론화하는데 이 조약의 체결을 위해 이토를 한국에 파견합니다.

    이들은 군대로 궁궐을 포위하고 황제와 대신들을 위협해 을사조약에 조인할 것을 강요합니다.

    이에 참정대신 한규철 등 몇몇 대신은 완강히 조인을 거부하나 박제순, 이지용, 이근택, 이완용, 권중현 등은 조약체결에 찬성하며 을사조약이 체결됩니다.

    또한 고종의 강제퇴위를 주도하고 정미 7조약, 기유각서, 한일병합조약 체결,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에 유일하게 모두 포함된 친일반민족행위자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1905년의 을사늑약부터 시작해서(을사5적), 정미7조약 체결의 원흉(정미7적) 마지막으로 1910년 최종적으로 나라를 팔아먹는 '경술국치조약'에 찬성한 경술국적으로서 소위 삼위일체를 다 가진 친일파 of 친일파로 알려져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이완용이 독립 운동 대표였으니 자기 부하들 이름을 다 일본에 넘겨서 죽게 하구, 여러가지 말도 안되는 조약에 서명하도록 고종을 설득하고 참 나쁜 사람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완용은 일제강점기 시기에 일본에 협력하여 조선총독부 국민교육국장, 조선총독부 참모, 조선인민군 창설 및 지도에 참여하는 등 친일파로 활동하였습니다. 이완용은 매국노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완용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 대한 애국정신이 부족한 사람들을 유인하여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돕는 친일파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가 행했던 친일 행동들 중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본군과 함께 신민으로부터 군용품을 압수하는 등 강제조업에 가담하였습니다.

    2. 일본의 군사적 침략을 돕기 위해 조선인 노동자들을 일본으로 끌어들이는 일을 하였습니다.

    3. 일본과 조선의 통일을 선언하는 일본의 "대동무" 운동에 가담하여 조선의 독립운동을 방해하였습니다.

    4. 일제의 종교억압 정책을 수행하며, 기독교 시설을 일본군의 병력 숙소로 사용하도록 허용하였습니다.

    이완용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의 독립과 국민의 이익보다 일본의 이익을 우선시키는 행동을 하였기 때문에, 친일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