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0.17

아이가 짜증을 자주 낼 때는 부모로서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이가 요즘 들어 툭하면 짜증을내는 거 같은데 이렇게 아이가 짜증을 낼 때 부모로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좋은 방법 있으면 알려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17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자주 내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가 바르지 못한 행동을 할 때 화가 치밀어 오를 것입니다.

    근데 막상 화를 내고 나면 부모의 마음도 편치 못하죠.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정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아이가 어떤 상황에서, 왜 짜증을 내는지)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흔히 부모는 아이의 거울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혹여나 부모님의 대화 속에 짜증 섞인 언어가 있지는 않은지 살펴보는 것도

    아이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개선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요즘 들어 짜증이 부쩍 늘었다면 그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몸이 좋지 않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있거나 친구관계에 문제가 있지 않은 지 먼저 알아보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분노, 속상함, 실망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방법이 미숙하여 짜증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화가 나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연습을 자꾸 시켜주세요. 예를 들면 "내가 ~ 하고 싶었는데 엄마가 잘 알아차리지 못해 화가 났어요." 등과 같이 화가 나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게 해 주세요. 그렇게 말로 표현하게 되면 부모는 아이의 화나는 감정을 일단 공감해 주셔야 합니다. 그런 다음 아이에게 어떻게 하면 좋을 지 물어본 후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아보게 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짜증을 내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했을 때 크게 칭찬해 주세요. " 우리 ~가 말로 표현해 주니 엄마가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빨리 알 수 있어서 너무 좋구나." 등과 같이 칭찬을 통해 습관화가 될 수 있도록 해 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툭 하면 짜증을 낸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짜증을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짜증을 내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주도록 하세요.

    더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면 짜증을 내지 않고 바른말.고운말로 조곤조곤 자신의 감정을 전달해야 함이 맞다 라는 것도 인지시켜 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서 아이가 짜증이 많아진 경우 짜증을 내는 원인을 파악하시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아이의 심리를 확인해보세요.

    이후 해결방법을 의논하신다면 아이의 행동을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위의경우표현을잘못해서그럴수있기에 짜증내지않고진정해서 말로표현하는법을 알려주시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낼때는 기다려주세요

    스스로 감정을 진정하고 안정되고 조절능력을 기르게 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주 짜증을 내는 건 아무래도 욕구불만에서 짜증을 내는 것 같습니다

    짜증을 어느 때 내는 지 살펴보고 원인을 해결해 줘야 하며,

    아이에게도 올바른 표현 방법을 알려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정당한 짜증이면 받아주세요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아이를 혼내시는 등

    하셔야 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직 언어로 표현이 힘든 아가들은 자신의 의사표현을 짜증으로 내기도 합니다

    말을 하기 시작하면, 점차 짜증 내는 것이 점차 줄어들 것입니다

    이럴 땐 아이의 마음을 대신 읽어 주세요

    힘들었었구나, 하기 싫었구나, 먹고 싶지 않았구나 등 아이의 마음에 공감을 해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낼 때에는

    때로는 반응을 보여주지 않는 것도 도움이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먼저 감정 표현에 공감해 주는게 좋아요. 대부분의 부모는 아이들이 짜증을 내면 이유부터 묻지만 대신 지금 속상하구나. 화가 났구나. 등의 말로 아이의 감정에 충분히 공감해주고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쉽게 짜증내는 아이는 감정표현을 잘 못하여 그럴수있습니다. 아이가 감정표현을 말을 통해서 지혜롭게 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낸다는건 본인이 원하는게 점점 생기다는것입니다. 원하는것을 얻을때 짜증말고도 방법이 있는걸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매사에 짜증을 내는 경우에 이유가 뭐냐고 자꾸 캐묻지 말고 공감부터 하시고

    그래도 짜증이 계속 될시에는 훈육을 하시눈게 좋을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보여주세요. 아이가 왜 짜증을 내는지 이유를 이해하려 노력하고 그 감정을 존중하세요.

    그리고 아이와 열린 대화를 통해 그들의 감정과 생각을 듣고 이야기하며 아이에게 어떻게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지 가르쳐주고, 그들이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개선하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