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별마다 빛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딱히 빛이날 이유가 없는 것 같은데
수많은 별들이 빛을 내고 있습니다
별에서 나는 빛은 별이 직접 내는 빛인가요?
별에서 빛은 어떻게 나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밤하늘에서 보는 별의 대부분은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입니다.
항성이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납작한 회전타원체형의 천체를 말하며 태양 역시 항성입니다.
그 외에 태양계 행성들이 태양빛을 반사하여 빛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별(태양 등)에서 빛(열)이 나는 이유는 핵융합 반응에 의한 것입니다.
태양은 별 중에 하나로,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원자(원자핵) 2개가 더 큰 원자(원자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반응전 원자(원자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반응 후 원자(원자핵) 질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빛, 열)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
스스로 빛을 내는 별도 있고 태양에 반사되어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달이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에 반사된 면만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외 멀리 떨어진 별들이 반짝 빛나는 경우는 수소와 헬륨의 핵융합 반응으로 인해 반짝반짝 빛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