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풋풋한꿀벌26
풋풋한꿀벌26

구름은 물방울로 이루어져있는데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이유

구름은 물방울로 이루어져있는데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이유 물을 엎으면 바닥으로 떨어지는데 구름은 어떻게 떠있나요 중3 수준에서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을 끓이면 수증기가 위로 올라가듯이. 구름도 미세한 작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어 하늘에 떠있을수가 있는데 이 미세 물방울끼리 뭉쳐져 무게가 무거워 지면 지표면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미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속에는 수증기, 물방울, 빙정(얼음 알갱이)가 섞여 있습니다.

    이런 입자들은 아주 미세한 크기와 질량이기에 공기 저항을 크게 받습니다.

    그래서 아주 느리게 낙하하고는 있지만 다시 구름 내부의 상승 기류에 의해 올라가는 과정을 반복하며 계속 떠있을 수 있는 것입니다.

    구름은 낙하하고있습니다. 이부분 꼭 기억하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에 수증기가 응축하여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대기 중에서 부유하면서 모여서 구름을 형성하게 된다. 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는 대기 중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냉각되고, 수증기가 응축하여 구름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