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학교에서 실험이나 연구 중 폭발사고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예방대책은 무엇이 있나요?
요즘 안전사고나 사건사고가 많은데 이중 대학교에서 실험이나 연구중 폭발사고가 해마다 증가한다는데요. 안전대책은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실습은 실질적이고 반복적인 안전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며 , 실험별 안전 수칙과 보호구를 착용하고
정기적인 실험실의 환경과 장비 및 보호구를 정검 및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사고 시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이를 통한 안전관리 책임을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8일에 한양대학교에서 실험을 하다가 1명이 화상을 입고 3명이 다쳤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아무래도 회사의 경우는 안전과 관련해서 법적으로 제제를 받다보니 생각보다 안전에 관해서는 작은 작업장이라도 절차나 규정을 지키려고 하고 안전도구들도 지급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학교 같은 경우는 실험이라는 명목으로 진행하기에 안전에 대해서는 소홀하기 마련입니다. 함께 시험을 하는 조교수나 교수라고 해도 학문의 전문가 이지 안전의 전문가가 아니기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아주 큰 사고들이 발생하곤 합니다.
실험실에서도 특히나 화학물질과 관련해서는 MSDS 를 구비하고 안전사고발생시 절차, 대책들이 있긴하지만 아무래도 대학교에서는 학생들도 많고 실험도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다보니 관리자가 없는 곳에서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대학교에서 약품이나 위험 장비를 취급하는 곳은 다른 시험들보다 조금 더 철저한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최근 대학교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증가하면서 안전 대책 마련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평가하고 관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연구실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에게 화학물질 안전, 장비 사용법, 비상 대응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필수로 제공하고, 화재나 폭발 같은 비상 상황에 대비한 대피 및 초기 대응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실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비상 대응 체계도 구축해야 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