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유럽 종교 개혁이 일어난 원인은 정확히 뭔가?
중세 유럽은
애초에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하나의 교회 같은 조직을 유지했던 것으로 아는데요
하지만 종교 개혁이 일어나면서
카톨릭, 루터파, 칼뱅파, 영국 국교 등으로 나뉜었다 합니다.
오랜시간
카톨릭이 유럽을 아우르면서
모든 왕가는 카톨릭을 숭배했던 것으로 아는데요.
종교개혁 때문에
카톨릭과 개신교 국가로 갈라지면서 국가간 대립도 일어나게 되는데
정확하게
유럽에서 종교개혁이 발발하게된
진짜 이유는 무엇인가요?
중세 종교 개혁이 일어난 정확한 원인은 로마 교황과 성직자들이 도덕적 해이, 교회의 재정 부패, 성직 매매, 면죄부 판매 등으로 교회에 대한 신뢰가 크게 무너졌습니다. 교회가 성경보다 교황과 전통의 권위를 더 높이고, 비성경적인 교리와 의식을 강조하면서 신앙의 본질이 훼손되었습니다. 특히 레오 10세 시기 면죄부 판매가 결정적 계기가 되어 마른틴 루터가 1517년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종교개혁이 본격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종교개혁이 일어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개혁이 일어나게 된 역사적 배경에는 중세 말기의 사회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중세 말기 이후 왕권을 중심으로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일국가가 중세 말기 이후 성장하게 되자, 보편적 기독교 세계관을 내세우는 가톨릭 교회는 그 기반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가 종교를 장악하는 현상을 나타나게 만들었고, 독일과 영국의 종교개혁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으로 사중세말기에서 근대에 걸쳐 성장하게 된 신흥 시민계급은 교황의 과세에 불만을 품고 국왕이 교회재산을 몰수하는데 적극적으로 협력하였습니다.
이러한 시민계급의 움직임은 시민의식과 자본주의 의식의 성장에 힘입었는데, 이들이 교회재산을 재분배하라는 요구가 커지면서 종교개혁이 발생하게 되었습다.
셋째로 종교적인 측면에서는 로마 교회와 성직자들의 타락상은 당대 사람들의 눈에 뚜렷하게 인식되었습니다.
깨어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교회의 타락상을 날카롭게 지적하였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교회 내의 젊은 성직자들을 중심으로 종교개혁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사상적 측면에서는 르네상스 인문주의 영향을 받은 성직자들은 원시 기독교로 돌아가자라는 의견에 공감하였으며, 개인의 각성이나 성경에 의거한 신앙으로 가톨릭 교회조직과 대립하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을 대표하는 사상가로 루터와 칼뱅을 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