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6

조상님의 넋을 기리기 위해 지내는 제사와 차례는 어떤 차이인지 궁금합니다.

우리 민족은 돌아가신 부모님이나 조상님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기일을 정해 제사를 모시는데 이 제사와 명절 날 지내는 차례는 어떻게 다른 것인지 그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22.12.16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사와 차례의 다른점은 쉽게 설명드리자면

    제사는 기제사라고 부모님이나 할아버지 등 돌아가신날을 잊지않게 하기위해서 밤에 모시는것이고

    차례는 조상모두를 설이나 추석에 모시는 것으로 판단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로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차례는 제사의 한 종류이지만 엄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차례는 약식 제사이다 보니 일반 제사와 차리는 음식과 지내는 절차나 방식이 다른데요.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모든 4대 조상을 모시지만, 기제사는 특정한 날짜가 정해지지 않고 돌아가신 날 밤에 지냅니다. 제수도 일반 제사에는 메(밥)와 갱(국)을 쓰지만, 차례에는 메와 갱 대신 계절 특식을 씁니다. 설 차례를 ‘떡국차례’라 하고 추석에 메 대신 송편을 올리는 것과 같은거죠.

    우리의 제사 절차가 복잡하고 절차가 까다롭다고 여기지만 실상 골격만 알면 매우 쉽습니닼 차례나 기제사나 제의 방식이 집안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제의 구조는 크게 신을 부르는 청신, 술과 음식으로 조상을 즐겁게 하는 오신, 다 드시면 보내 드리는 송신으로 돼 있는데요 차례나 제사는 조상을 청하는 분향 강신과 음식을 다 드신 후 보내 드리는 송신의 구조는 같습니다. 둘의 차이점이라면 차례는 기제사와 달리 분향 강신 후 축문도 없고 술잔도 한 번 올리는 무축단잔의 약식 제사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