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2.01

성냥은 어떻게 불이 붙는 것인가요?

케이크나 빵을 구매하면, 성냥을 따로 주잖아요?

성냥을 갈색(흑색)의 사포같은 부분에 사악 긁어주면 불이 붙는데,

어떤 원리로 불이 붙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2.01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성냥은 1910년 미국에서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성냥은 나뭇조각 끝부분에 발화점이 낮은 염소산칼륨, 황, 인 등의 화학물질을 발라서 마찰열에 의해서 발화시키는 원리입니다. 성냥갑의 마찰면에는 유리가루 등 거친 표면을 가진 물질을 발라서 마찰열이 발생하도록 합니다. 타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규조토를 섞기도 합니다.

  • 마찰열에의해 발화 시키는 원리 입니다.

    성냥개비에는 염소산칼륨등의 화학물질이 발라져 있고

    갑의 면에는 적린,유리가루,규조토등이 발라져 있어 마찰력을 극대화 시킵니다.

  • 성냥의 주 원료는 염소산칼륨입니다.

    이 염소산칼륨이 유릿조각 등이 섞인 까칠까칠한 마찰면에 대고 마찰을 일으키면,

    성냥에 있는 적린이 백린으로 변하면서 염소산칼륨과 반응하기 때문에 불이 붙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