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진심감사하는시금치
진심감사하는시금치

원격 근무가 확산된다고 한다면 지방 거주자의 취업 기회는 얼마나 넓어지게 될런지요?

이전에 팬데믹을 거치게 되면서 급격히 늘어놨던 원격, 재택근무가 최근 일부 기업에서 다시 정규 근무제로 편입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IT기업이나 창의적인 직군쪽에서는 여전힌 원격 근무 수요가 많기도 한다고 하던데 지방 소도시에 살면서 서울 본사 근무 기회가 막혀 취업 기회를 놓친 분들도 계시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원격근무 제도가 제도적으로 정착이 된다면 지방 거주자들에게 실질적으로 어떤 변화가 생길지가 궁금합니다. 또 원격근무를 하면서 협업 효율성 문제, 인터넷망 불안정, 소통의 단절 같은 한계는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원격근무 확산이 지방 청년층의 기회 불균형을 해소하는 계기가 될까요, 아니면 또 다른 격차를 낳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원격근무가 활성화 되면 지방에 거주하는 분들의 취업 기회가 커진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기업 입장에서도 부동산과 출근 시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 하고,

    각기 다른 지역에서 인재 수혈이 가능하니 보다 넓은 인재풀을 확보한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현재 지방 거주자들은 취업을 위해 서울권으로 상경을 하거나, 지방에서 일부 타협을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들이 개선되고, 부동산 측면에서도 청년층이 살기 좋은 환경이 될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협업 문제는 요즘은 워낙 화상미팅이나 워크툴, 메타버스 등 활용가능한 tool이 많아 상대적으로 좋아졌고,

    월 1~2회 정도 본사를 방문하는 것으로 대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만약에 원격 근무가 확산되고 생산성도 충분히 나온다고 한다면 지방 거주자에게도

      기회가 올 것이고 수도권 집중현상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즉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다양한 사회 문제가 해결 될 수 있으나 원격 근무가 다수 사라진

      결정적인 원인은 업무 효율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원격 근무가 확산된다면 지방 거주자의 취업 기회는 얼마나 확장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거주지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지방 거주자들이 궂이 수도권, 서울로 이사오지 않아도 되기에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격근무가 확대되고 있지만 늘어나는데에도 한계가 있을듯 합니다.

    업무를 해보시면 알겠지만 대면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미 많은 기업들이 원격 근무 제도를 활용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한 달에 사물실 출근을 아예 안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지방 거주자는 서울 IT기업에 취업하기 쉽지 않습니다. 최소한 수도권 내에 살아야 하며, 원격근무 확산이 되어도 지방 청년층의 기회 불균형을 해소하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은 원격근무는 확산되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때문에 원격근무가 많았고 테스트도 해볼 겸 기업들이 많이 했었는데

    가장 큰 문제는 일이라는 것의 의사소통문제가 가장 컸습니다

    일을 하게 되면 회의를 통해서 진행하는 것도 있겠지만 바로바로 지시를 내리거나 급하게 만나서 얘기해야하는 경우가 사실상 굉장히 많습니다.

    그런면에서 너무 불편하며 바로바로 일처리가안되니 루틴업무 이외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원격으로하면서 본인 업무 외에 다른 부업을 한다던가

    이직 준비를 하는 등 많은 문제로 인하여 대부분 없어졌고 앞으로도 사실 쉽지 않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택이나 원격 근무가 제도적으로 굳어진다면 지방 거주자에게 분명히 선택지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서울로 이주하지 않아도 수도권 기업에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은 큰 장점이죠. 다만 현실적으로는 직무 성격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IT나 콘텐츠 분야처럼 온라인 협업이 익숙한 업종은 확실히 문이 넓어지지만 제조업이나 대면 서비스 쪽은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또 인터넷 환경이 안정적이지 않은 지역에서는 업무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동료와 직접 마주보며 생기는 유대감이 부족해 고립감을 느끼는 문제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원격 근무가 지방 청년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면서도 동시에 협업 방식의 격차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