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hswisdom
hswisdom23.03.02

물가 근처가 아닌 내륙에서 안개는 왜 생기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물가 근처가 아닌 내륙에서 안개는 왜 생기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안개는 원래 물가근처에서 많이 생기는 것으로 아는데, 안개가 짙게 끼는 날도 종종 있더라고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체로 형성되는 현상입니다. 안개가 생기는 원인은 대기 중의 수증기 양이 증가하여 포화상태가 되면서 발생합니다. 이 때 대기 중의 온도와 습도, 공기의 움직임 등 다양한 조건이 영향을 미치며 안개의 발생 원인이 달라집니다.

    내륙 지역에서 안개가 생기는 원인 중 하나는 지형적인 영향입니다. 내륙은 바다와 달리 지형이 복잡하고 고도가 높은 지역도 많기 때문에,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형 장애물에 의해 차단되거나 위로 상승하여 냉각되면 안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내륙 지역은 바다 지역보다 대기 중의 물증기가 적은 특성이 있어, 대기 중의 수증기 양이 증가하기 쉬운 환경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내륙에서는 안개가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포화상태인 수증기가 있어야 합니다. 내륙의 경우 수증기가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라경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대기중의 수증기가 일정온도와 습도에서 눈에 보일정도의 입자크기 형태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강이나 호수인근이 아닌 내륙에도 공기중에 수장기가 존재하고 있으며, 기온역전현상으로 지표면 인근의 공기가 상층보다 차가워지고 안정된 상태일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되어 공기 중에 떠다니게 되면서 생긴다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습한 지역이나, 기온 차이가 큰 지역, 밤과 낮의 기온 차이가 심한 지역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내륙에서 안개가 생기는 경우는 대체로 밤과 낮의 기온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내륙은 바다와 달리 기온 변화가 크기 때문에, 낮 동안 땅의 표면이 더욱 더욱 가열되어 땅에서 물기가 증발하게 되고, 이 증발한 물이 공기 중에서 수증기로 존재하게 됩니다. 그러나 밤이 되면 표면의 열이 빠르게 방출되면서 공기 중의 수증기가 결집되어 안개가 형성됩니다. 따라서 내륙에서는 기온 차이가 크므로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2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일반적으로 고온 다습한 지역에서 발생하지만, 물가 근처가 아닌 내륙에서도 안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안개를 지형 안개 또는 복사 안개라고 합니다.

    지형 안개는 지형의 형태에 의해 발생하는 안개입니다. 일반적으로 산과 같은 높은 지형에서 발생하며, 지형이 높을수록 더 많은 안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형 안개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고지대나 산 등의 지형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발생합니다.

    복사 안개는 지형 안개와는 달리, 지표면이 냉각되어 생기는 안개입니다. 밤에 지표면이 냉각되면 그 위에 있는 공기가 냉각되고, 이로 인해 수증기가 응축되어 안개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안개는 대개 고지대와 같은 지형에서 발생하며, 맑은 가을이나 겨울에 많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한 것이라는 점은 구름과 비슷하지만 지표면 가까이에서 응결해 떠 있는 것입니다.

    대기중에는 어디든지 수증기가 있고, 내륙이라고 해서 공기중에 수증기가 없는게 아닙니다.

    현재 숨쉬는 지금도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수증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상에서 증발 된 물은 수증기가 되어 공기 중으로 올라가면서 팽창하여 차가워집니다.

    하지만 공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수증기만을 포함할 수 습니다.

    수증기를 가득 품은 공기가 차가운 곳을 지나며 기온이 내려가게 되면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고 일부 수증기는 응결되어 안개가 되는 것입니다.

    물가에서 안개가 자주 생기는 이유는 물 위의 온도는 주변 대비 기온이 낮기 때문이며, 내륙이라 할 지라도 주변보다 기온이 낮은 곳에서는 충분히 안개가 생겨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