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코인의 발행한도가 정해져 있는데 어떻게 인플레이션이 발생되는건가요?
발행한도가 없는 이더리움 같은 경우에는 인플레이션이 발생될 수 있지만 이오스나, 리플 같은 경우에는 발행한도가 정해저 있습니다.
발행한도가 정해져 있는 코인은 어떻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인가요?
(예를 들어 발행한도가 1000개일 경우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001개가 될 수 있다는 말인가요?)
아니면 기본 발행한도 내에 발생되는 부수적으로(수수료 개념) 축적된 수량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표현하는 건가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