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우람한당나귀214
우람한당나귀21423.02.08

지진은 왜 발생하는 것인가요?

지진은 무슨이유로 발생하는 것인가요? 우리나라도 지진이 간혹 발생하는데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답변기다릴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표피층(=지각)아래에는 맨틀이라는 유동성 물체가 있습니다.

    그 물체가 천천히 움직이게 되면서, 지각끼리 부딛치게 됩니다

    이 때 지진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지진이 일어나는 곳은 계속 반복됩니다.

    지각층 경계이기 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8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지각활동의 결과물로서 지진이 발생합니다

    지각을 구성하는 판은 여러개의 덩어리로 존재하는데

    판끼리의 충돌이나 수렴등이 일어나며 지진이 발생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진은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지표로 내뿜어지는 곳으로 아래와 같은 지진판의 경계부에서 응력이 커져 일어나는 것입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왜! 지진이 일어나는가 정리가 될 것 입니다,


    먼저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곳은 지구상에 없지만, 특히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 있습니다. 이 지역을 연결하면 띠 모양이 되는데 이를 지진대라고 부릅니다. 세계에서 유명한 지진대는 환태평양지진대와 알프스지진대가 있습니다.

    환태평양지진대는 전세계 지진의 80%가 발생하는 곳으로 아메리카 서부의 산과 알래스카, 일본, 필리핀을 지나 뉴질랜드까지를 이어 하나의 고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환태평양지진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진이 자주 발생합니다.

    알프스지진대는 알프스와 히말라야산맥을 지나 인도네시아를 통과합니다. 이곳은 전세계 지진의 15%가 발생합니다. 이 두 개의 지진대를 제외하고도 해령을 따라 소규모의 지진대가 발달하고 있습니다.


    지진대는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지표로 내뿜어지는 곳으로 위와같은 지진판의 경계부에서 응력이 커져 자주 일어나는 것으로...거의 일치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용수철의 에너지가 축적되어있다가 튕겨져 나오듯이, 지각의 움직임도 에너지를 축적합니다. 마침내 쌓여있던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암석의 힘을 이겨내면, 암석은 약한 지점이나 흠집을 따라 깨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축적된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이 지진이 랍니다.


  • 지진과 화산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들을 환태평양 조산대라고 합니다.

    판구조론에서 판의 경계는 지각 변동이 활발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태평양 조산대가 바로 판의 경계가 됩니다.

    즉, 판의 이동으로 인해 지각이 움직이게 되고 이것이 지진 활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나라도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