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흑두루미
흑두루미23.05.16

얼음은 어떻게 물 위에 떠 다닐수 있는 건가요?

얼음은 물 들이 모여 얼음으로 된건데 어떻게 물 위로 떠다닐수 있는 건가요?

얼음이 많이 무거울 텐데 물속으로 가라안지 않고 떠 다닐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굼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은 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물은 얼음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물 위로 오르지 않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얼음이 물 위에 떠다닐 수 있는 이유는 얼음의 밀도가 어떤 특이한 점에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물은 4°C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갖지만,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밀도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0°C 이하의 얼음은 물보다 낮은 밀도를 가지고 있어 물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중 때문입니다.

    물이 얼음이 되면 약 4%정도의 비중차이가 발생합니다.

    즉 같은 부피의 물과 얼음이 있다면 물이 얼음보다 4%정도 더 무겁습니다.

    그래서 얼음의 96%는 물에 잠기고 나머지 부분은 물에 떠있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은 물과 비교하여 밀도가 낮고 부피가 큽니다. 물이 얼면서 분자구조가 변형되어 그런것인데요, 그로인해 물과 같이 있게 되면 낮은 밀도에 의해 물위에 얼음이 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이 물 위에 떠다닐 수 있는 이유는 물의 밀도가 얼음의 밀도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얼음은 물과 같은 환경에서는 물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습니다. 이는 얼음의 분자 구조 때문인데, 얼음의 분자 구조는 공간 내에서 물 분자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 얼음이 무거울 수 있지만, 물 위에 떠다닐 수 있는 이유는 밀도와 부피의 관계로 설명됩니다. 얼음이 얼음 결정의 구조로 인해 물보다 더 큰 부피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아치메데스의 원리에 따라 물 위에 떠다닐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체상태인 얼음은 액체 상태의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물 위에 뜨게 됩니다 얼음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낮은 이유는 물 분자 사이에 존재하는 수소 결합 때문입니다 수소 결합은 물 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합니다 이로 인해 얼음은 액체 상태의 물보다 부피가 커지고 밀도가 낮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무게는 질량입니다.

    하지만 뜨고 안뜨고의 차이는 밀도차에 있습니다.

    두 물질의 밀도를 비교하고 합쳤을때 섞이지 않으면 밀도가 작은 물질이 밀도가 큰 물질위로 뜨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부피는 늘어나지만 무게는 일정해서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밀도는 줄어듭니다. 따라서 물보다 밀도가 작은 얼음이 물 위에 뜨게 되는 것입니다.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밀도는 약 10% 정도 줄어들게 되므로 전체 얼음의 10% 정도가 물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물위에 떠 다닐수 있는것은 물에서 얼음이 되면 부피가 1.1배 커지면서 밀도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밀도 = 질량/부피로써 같은 질량일때 부피가 커지는 얼음이 밀도가 작아서 물위에 얼음이 떠다닐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도가 낮은 물질이 위에 뜨게 됩니다.

    그런점에서 얼음은 물보다 밀도가 낮습니다.

    얼음은 물보다 분자 사이 간격이 넓습니다.

    이는 물의 구조적 특성인데, 극성물질로써 오히려 고체일때 분자간 일정한 거리를 둬야 하기때문에

    물이 얼게 되면 오히려 부피가 늘어나게 되고, 밀도는 낮아집니다.

    그래서 얼음은 물위에 뜰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