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시크한쿠스쿠스238
시크한쿠스쿠스238

대기업 코인을 투자해야 될까요?

카카오에서 만든 클례이튼 , 네이버 라인회사에서 만든 링크코인.

하지만 다른코인들도 저 만큼 올랐기에 굳이 대기업 코인을 사야될지 궁금하네요.

이유가 너무 공개를 안해준다는 겁니다. 소식이 너무 느려 투자자들을 지치게 하죠. 메일 등 문의를 해도 답을 잘 안주고 대기업일수록 먼가 소통을 멀리하는 느낌을 투자를 통해 알게 됬습니다.

막상 투자자는 입을 다물고 평생기다리기만 해야되는지 의문이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화로운천인조82
      호화로운천인조82

      대기업 코인이라 하면 많은 코인들이 있습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기업들도 일부 가지고 있는 코인이 있습니다.

      질문자가 알려 주신거 외에도 보라 플레이댑 스톰 리퍼리움 리플 에이다 등등 ㅇㅕ러가지가 있습니다.

      앞으로 충분한 상승장을 보여줄수 있다고 생각 하며

      그만큼 상승장을 보인다면 한번은 큰 하락장을 보는게 맞습니다. 현재 내가 생각하기에 이가격은 적정수준이다 생각이 드시면 투자 해서 장기간 가시는걸 추천 드려요

    • 저는 네이버쪽 코인은 잘 모르지만 카카오 주주방장이라

      KLAY (카카오코인; 클레이; 클레이튼)에 대해서 설명드릴께요.

      KLAY를 믿고 투자한 회사들이 꽤 있는데요. 이를 거버넌스 카운슬 (governance council) 이라고 합니다.

      이 회사들이 모두 일종의 KLAY 운영 협의회에요.

      LG도 있고, 한화, GS, 네오위즈, 셀트리온 등도 있고, 외국 코인 거래소인 Worldpay, Binace, Houbi 등도 있답니다. 최근에 신한은행도 합류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현재는 그리 많은 유통을 하고 있지않은데 그 이유가 KLAY를 활성화하면 정부에서 관리감독을 강화하게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법적인 문제라든지, 인식이 바뀌길 기다리고 있는 것이죠.

      이런 문제가 해결된 다음에 많이 활성화 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국내거래소에 KLAY를 상장시키지않고 업비트 인도네시아 쪽에 상장시켰다는 겁니다. (코인원이나 GDAC는 협의없이 해당 거래소에서 상장시킨 경우).

      2022년이나 그 이후 좀 더 암호화폐 (코인)에 대한 인식/규정/법적인 문제 등이 해결되고 나면 말씀하신 부분이 좀 나아지리라 봅니다.

      -- 카카오주주방장 넷꾼 --

    • 안녕하세요.

      코인의 가치는 시장에서 인정하는 만큼 올라갑니다.

      클레이나 페이코인 등은 상당히 가치가 상승했습니다.

      시장에서 코인의 가치를 인정해 주고 있기 때문이지요.

      현재 우후죽순으로 늘어가는 코인 시장에서 내 돈을 투자해서 안정적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회사가 튼튼한 것이 중요하겠지요.

      단순 투기가 아닌 투자의 개념으로 접근하신다면, 대기업 코인이 향후 안정적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됩니다.

      채택 부탁 드립니다.

    • 제가 이더리움과 이오스까지 블록체인의 시장성에 대해 믿음을 갖고 접근 하여 커뮤니티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얻은 경험 하나는 현재까지 만들어진 플랫폼들 중 인터넷처럼 대중들이 쉽게 접근 하여 이용하기

      편하면서 초당 처리 속도가 현재 시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속도를 갖는 플랫폼들이 없다는 점입니다.

      그 이유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처리 속도가 느리다.

      - 기술적인 한계란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노드들이 무작위(비트코인, 이더리움)일때 수많은

      블록을 검증 하는 시간이 길어 초당 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것입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블록을 묶어서 큰단위의

      블록을 만든뒤 그 블록의 대표성만 신뢰 되면 검증을 하는 이더리움의 샤딩 방식과 이오스의 대표 노드 선발을 통한

      검증 방식이 있습니다.

      향후 이오스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중앙화와 탈 중앙화냐의 철학적 문제와 시장

      접근성의 문제가 부딪치고 있는 중입니다.

      2. 대중적 마케팅 능력의 한계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들은 사실 스타트업체 수준이다 보니 아무래도 기술적인 부분에 매몰되는 경향이 높습니다.

      그러다 보니 기술적인 진보를 우선시 하는 분위기가 있었고 자연스레 대중의 접근성과는 거리가 먼 기술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런 위와 같은 원인들로 인해 저는 대기업 코인을 찾아 보게 되었고 네이버 라인에서 발행한 링크 코인을

      알게 되었는데 질문자께서 언급한 것처럼 대기업 코인 담당자들은 커뮤니티에 대해 무시하는 듯한 태도가 많고

      정보도 제공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기업들이 갖고 있는 기존 시장 참여자들을 끌어 들일 마케팅 능력과 앞선 대중 친화적인 플랫폼

      개발들이 지금은 미약하지만 점차 개선 될 가능성이 높기에 기대를 하고 있고 앞으로 10년뒤 닷컴 열풍에 살아 남는

      코인과 플랫폼이 뭐가 될지는 아무도 모르기에 예의 주시하며 살펴 보고 있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대기업 코인은 코인대로 기대가 있지만 현실에서는 아직 이렇다 할 어떤 가시적인 내용이 없는게

      사실이고 기존 코인들도 몇년에서 10년이상이 흘렀지만 이렇다 할 결과물이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따라서 신념과 믿음의 접근이 아닌 시장 대응의 마인드로 접근하여 투자 목표에 따른 기대 수익 부근에서

      익절하는 것이 항상 옳다고 생각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