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3.10.12

개미는 도대체 어떻게 멀리서도 방향을 잡고 음식을 찾아서 다른 동료들을 불러오는 것인가요.?

개미들을 보면 밀가에 떨어진 음식을 발견하였을 때 집으로 돌아가서 다른 동료 개미들을 불러오는데 어떻게 멀리서도 이렇게 동료들을 불러서 음식을 옮겨갈 수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바로 개미에게서 발산되는 페로몬 입니다.

    개미는 무리 생활을 하기 서로에게 신호를 주는 것이 필수적인데 먹이를 구했거나 위험이 감지될 때 이러한 페로몬을 발산하여 주변 개미들에게 신호를 보내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페로몬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합니다.

    개미 몸속에서 여러가지 물질들을 조합해 페로몬을 만들어 뿜는데, 휘발성이 너무 강해 멀리있는 동료들에게도 전달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의사소통을 한답니다.

    페로몬을 땅에 바르거나, 공기중으로 휘발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먹이의 발견, 동료를 부를때, 위험발견 등 상황에 따라 여러물질들을 조합하여 페로몬을 생성/ 뿜어냅니다.


    따라서 개미는 음식을 발견하면, 혼자 가져가거나 동료들에게 페로몬으로 의사소통하여 협력하여 음식을 가져갑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들이 먼 거리에서도 동료들을 불러 모을 수 있는 것은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신호를 보내기 때문입니다. 개미들은 페로몬이라는 화학 물질을 분비하여 다른 개미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개미가 음식을 발견하면, 그 자리에 페로몬을 분비합니다. 이 페로몬은 다른 개미들이 음식을 발견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다른 개미들은 이 페로몬을 따라 음식이 있는 곳으로 모여듭니다.

    개미들은 페로몬의 양과 농도를 조절하여 다른 개미들에게 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음식이 가까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많은 양의 페로몬을 분비하고, 음식이 멀리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적은 양의 페로몬을 분비합니다. 개미들은 또한 페로몬의 방향과 궤도를 사용하여 음식이 있는 곳까지 길을 찾습니다. 개미들은 음식이 있는 곳에서 분비된 페로몬을 따라가면 음식이 있는 곳까지 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특이한 사회적 구조와 행동 패턴을 가진 곤충입니다. 개미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음식을 찾고 다른 개미들에게 알리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페로몬입니다.

    페로몬은 개미가 발분비하는 화학물질로서 다른 개미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됩니다. 개미는 음식을 찾으면 페로몬을 발분비하여 음식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이 페로몬은 개미들이 따라갈 수 있는 트레일(길)을 만들어냅니다. 다른 개미들은 이 페로몬을 감지하고 따라가면서 음식의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개미들은 탐색을 통해 음식을 발견한 후 돌아가면서 다른 개미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기도 합니다. 이를 "리크백"이라고 하는데, 음식을 찾은 개미는 다른 개미들과의 접촉을 통해 음식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의 페로몬 때문입니다.

    개미는 서로간 의사소통을 위해 페로몬이란걸 사용하는데 목적에 따라 화학물질인 페로몬을 분비하여 길안내, 모임, 도망, 성교 등의 내용에 따라 각각 다른 페로몬을 발생하여 서로 소통 할 수 있습니다. 먼길을 이동할때 길을 지나가면서 개미가 페로몬을 일정량 뿌리면서 이동하는데 집에 돌아올때도 이러한 페로몬을 따라 집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가 먹이를 찾아갈 때, 여러 길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짧은 길을 선택하여 이동합니다. 또한, 이동하는 표면의 성질까지 고려하여 이동하기도 합니다. 개미가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것에는 원칙이 있습니다. 무조건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페르마의 법칙'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지요. 페르마의 법칙이란, 빛이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할 때 가장 짧은 시간의 경로를 따라 진행한다는 것입이다. 같은 매질이라면 빛이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장 짧은 시간의 경로가 최단거리가 되고, 그 경로는 직선 형태가 되는 것이지요. 반면 매질이 다른 경우에는 직선의 기울기가 다르게 되고, 결국 빛이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땐 그 경계에서 꺾이는 굴절이 일어납니다. 개미는 최소 시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연구 결과는 로봇이나 정보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크게 태양의 위치, 지구의 자기장, 냄새를 이용하여 방향을 잡고 음식을 찾아냅니다.

    태양의 위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개미가 태양의 위치를 기억하고, 그 위치를 기준으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개미는 두 눈에 있는 겹눈을 사용하여 태양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자기장을 이용하는 방법은, 개미가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개미는 몸 안에 있는 자철석을 사용하여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냄새를 이용하는 방법은, 개미가 음식물의 냄새를 따라 음식을 찾아가는 것입니다. 개미는 코에 있는 냄새 센서를 사용하여 음식물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개미가 음식을 찾아서 다른 동료들을 불러오는 것은 페로몬을 이용합니다. 페로몬은 개미가 내는 특수한 화학물질로, 다른 개미들이 이 페로몬을 냄새로 감지하여 음식이 있는 곳으로 모여들게 됩니다.

    개미는 이 세 가지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멀리서도 방향을 잡고 음식을 찾아냅니다.

    개미의 방향 감각과 길 찾기 능력은 매우 뛰어납니다. 개미는 태양의 위치가 바뀌어도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멀리 떨어진 음식물도 찾아낼 수 있습니다. 개미의 이러한 능력은 인간에게도 많은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