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검붉은코브라279
검붉은코브라27923.12.31

비행기가 지나간곳은 왜 구름이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하늘 날아다니는 비행기를 보면 항상 꼬리에 구름을 달고 다니더라구요. 한동안 사라지지않는것 같던데요.

무슨 원리로 이게 가능한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지나간 후에 구름이 생기는 현상은 "비행로 구름" 또는 "콘트레일"이라고 불리는 현상입니다.

    비행기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뜨거우며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고온의 배기 가스가 주위의 상대적으로 차가운 대기와 접촉하면 수증기가 응결되어 작은 물방울 혹은 얼음 결정으로 변합니다. 이 응결체들이 대기 중에 떠다니면서 모여 구름 형성 핵이 되며, 이로 인해 구름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비행로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물결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진 물방울들이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구름이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유지됩니다. 이 현상은 주로 고도가 높은 대기에서 발생하며, 습도와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구름의 모양과 지속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꼬리에 구름을 달고 다니는 것은 바로 "콘트레일(Condensation trail)" 현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행기 엔진에서 배출되는 물증기와 미세한 입자들이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대기 중에서 빠르게 냉각되면서 구름 형태로 변화하는 것이죠.

    비행기가 지나간 곳에 구름이 생기는 이유는 바로 이 콘트레일 현상 때문입니다. 비행기가 날아가면서 엔진에서 배출되는 물증기와 미세 입자들이 대기 중에서 빠르게 냉각되면서 구름 형태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 구름이 바로 비행기가 지나간 경로를 따라서 계속 남아있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기 중의 습도와 온도 고도 등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지나간 경로에 구름이 생기는 정도도 이러한 요소들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