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23.02.10

하늘에 비행기가 지나간 후에 생기는..

하늘에 비행기가 날라 가고나면 긴 꼬리처럼 구름이 생겨 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렇게 구름이 꼬리처럼 생겨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0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지나가면 비행기의 배기 가스 배출로 인하여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생기게 되는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지나간 후 생기는 구름같은 것은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비행운이 생기는 것은 '단열팽창' 현상 때문입니다. 비행기 내부의 제트엔진 속 좁은 공간에 있던 공기들이 대기 중으로 분출되면 공기의 기압 (압력)이 낮아지면서 부피가 커집니다. 이때 부피가 커지는데 에너지를 다 쓴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는데 이를 단열팽창이라고 합니다.


  • 비행기 주변이 뿌옇게 변하면서 구름처럼 생기는 것을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것이 생기는 이유는 배기가스와 하늘의 온도차이 때문입니다.

    겨울에 입김을 불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은 입안의 온도와 바깥의 온도의 차이 때문인데,

    하늘의 온도보다 배기가스의 온도가 급격히 높기 때문에 꼬리같은 입김(구름운)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그것은 비행운이라고 하는 항공기가 만드는 구름입니다.

    엔진에서 나오는 뜨거운 배기 가스(약 600℃ 내외)가 높은 항공의 차가운 공기(약 영하 40~50℃)와 만나면 물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 물이 찬 공기에서 즉시 얼어버리면서 항공기 뒤쪽으로 긴 궤적의 비행운이 남게 되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