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가 얼마가 되어야 세계가 안정이 될까요?
작년 2022년은 금리 상승만 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정말 많이 올라와서 현재 투자자들은 큰 피해들을 보고 있는데 미국 금리가 얼마가 되어야 다시 세계가 안정 되면서 투자도 다시 상승의 발판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2년도 한해 동안 정말 너무 힘들었던 것은 단순히 "금리 인상이 시작되었다" 라기 보다는, 시장의 예상치 보다 계속해서 폭이 너무 컸다는 점일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1년 내내, 하락하는 정말 너무 힘든 장 이었습니다. 중간 중간 금리 인하가 일찍 시작할 수도 있겠다라는 기대감이 생길 때마다, 미국 연준은 그런 기대감을 가차없이 짓밟아 버리는 매의 발톱을 시장에 보여줬습니다.
내년도에 자산시장이 안정화가 되려면, 인플레이션이 다시 재점화 하지 않고, 지금 점도표상에서 전망되고 있는 0.75% 인상 이내로만 금리 인상이 이루어지는 것이 전제조건일 것 같습니다. 이렇게 메크로환경이 안정화 되고, 안개가 걷힌다면, 실적과 향후 전망이 기대되는 기업들은 다시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22년도는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등의 경제 지표와 주요 선진국 들의 통화 정책 변화 등 메크로 변화에 기업들의 이슈가 묻혀버리는 한해였던 것 같습니다. 23년도에는 메크로환경이 안정되고, 기업들의 뉴스에 집중할 수 있는 한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의경우 현재 시장에서 5%까지는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5%까지 상승 후 추가적인 상승이 없다고 파월 의장이 발언한다면 시장은 안정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차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1.25%포인트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놨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연준이 내년 말 금리를 4.6% 수준으로 올린 뒤 최소한 2024년까지 긴축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따라서 5% 대로 금리를 유지해야 어느정도 인플레이션이 잡힐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현재 연준의장은 2%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통상적으로경제성장률과 비슷하게 2~3% 유지 기조면 양호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목포 물가는 예상은 빠르면 올해 말 내년 초중까지는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가 딱 얼마다라기 보다는 미국의 금융정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갈까를 논의하는 것이 주식의 흐름을 결정할 더 중요한 요소라고 보여집니다.
현재 금리는 속도조절이 있지만 어쨌든 금리가 조금 더 올라갈 것이다 라는 시각이 많기 때문에 주식 등 자산가격의 현황이 더 좋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물가상승지표가 어느정도 잡히고 금리가 인하된다는 전망이 나오게 되면 그떄부터 주식의 가격은 회복국면으로 가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얼마가 되어야 안정을 찾는다는 금리는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다만 금리의 인상이 어디에서 멈추게 될 것인지 그리고 그 금리 인상 상태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머물게 될 것인지가 중요하며, 시장이 이 금리 수준의 상태를 얼마나 잘 버텨내느냐의 균형이 중요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금리를 10%까지 올리는 극단적인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시중에 부채가 없고 해당 금리를 견딜만한 체력이 있다면 금리의 인상은 큰 타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현 상황처럼 부채가 급격하게 증가한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고작 2%의 금리상승에도 지금처럼 개인들의 부실화 우려와 PF대출의 부실화등의 사태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지금 세계가 바라는 미국에 대한 금리인상 척도는 여기까지 금리인상이 되고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일 것입니다. 이미 4.5%의 기준금리 수준에서 전 세계 경제는 경기침체의 국면에 빠져들고 있는 상황이며 이로 인해서 미국 기업들은 내년의 경기침체를 우려하여 대규모의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고 반도체 기업들의 경우도 재고가 심각한 수준까지 쌓여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을 제외한 단순한 세계 시장의 안정만을 생각하게 된다면 미국의 금리인상이 여기서 멈추고 금리인하를 통해서 2%대 금리까지 낮추게 된다면 경제는 다시 활성화가 될 것이지만 반대로 인플레이션은 다시 걷잡을 수 없이 상승할 것이라서 금리 조절을 하기는 힘든 상황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