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근사한염소114
근사한염소11423.03.28

예금ㆍ적금의 차이점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세요

예금과 적금 가입시에 어떤걸 드는게 좋을까요?예금과 적금의 차이점을 알고싶어요ㆍ

자세하게 설명해주셨으면합니다ㆍ

비과세 혜택에관한것도 좋아요ㆍ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적금은 일정 기간동안 통장에 '일정한 금액'을 입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금리가 높은 통장을 말합니다. 적금의 종류는 내가 원할 때 마다 돈을 넣을 수 있는 '자유적금'과 매월 혹은 일정주기 마다 동일한 금액을 입금하는 '정기적금'이 있습니다. 이에 반해서 예금은 한 번 가입을 하게 되면 그 이후에 통장에 추가적인 자금을 입금할 수 없는 금리가 높은 통장입니다. 즉,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상품 가입후에 '추가납입'이 가능한지의 여부에서 결정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적금의 장점은 작은 금액으로 시작할 수 있고 내가 돈이 생길 때마다 자유롭게 돈을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만기에 받게 되는 이자는 '은행에 예치되었던 기간만큼의 이자'를 받기 때문에 실제 이자율보다 이자금액을 적게 받게 됩니다. 예금의 경우는 통상적으로 '목돈'을 예치할 때 많이 사용되는데 예금금리가 높은 반면에 자금이 생기더라도 추가적으로 돈을 입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자금을 '작은 금액'으로부터 시작해서 조금씩 모아가실 예정이시라면 '적금'을 가입하시는 것이 좋으며, 한 번에 큰 돈을 예치하실 예정이시라면 '예금'을 가입하시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적금이나 예금의 금리는 일반적으로 2금융권이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데, 특히나 상호금융인 새마을금고, 신협, 수협, 단위농협의 경우에는 '준조합원' 자격을 취득하게 되면 3천만원까지 이자소득에 대해서 1.4%의 농특세만 내는 '저율과세' 상품이 있어 3천만원 범위내로는 이러한 상호금융의 상품을 활용하시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축복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예금은 우리가 은행에 목돈을 한번에 넣어 놓은 개념입니다. 이자는 적금보다 적겠지만 많은 돈을 넣어 놓으니 이자의 총액은 더 클 것입니다. 적금은 매달 일정금액을 모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자가 높아도 실질적으로 받는 이자는 예금보다 작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적금 보다는 목돈이 있다면 예금으로 굴리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개인 마다 일정한 금액의 비과세 혜택도 있으며 은행에 가면

    잘 설명해 드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은 한 번에 목돈을 예치하는 것이고, 적금은 다달이 목돈을 만들어가는 것이 다른 점이며, 예금은 목돈을 단기간에 관리하기 용이하고 명목 이율 그대로 지급한다는 점이 특징이고 적금은 다달이 돈을 모을 수 있는 금융상품이어서 '돈 모으는 습관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