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aba4747
aba474723.12.10

자가면역질환 스테로이드 치료원리

나이
2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메스티논
기저질환
중증근무력증

자가면역질환을 스테로이드로 치료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면 면역력이 저하되는것도 이해가안됩니다 몸에서 나오는 코르티솔을 대신하면 면역력은 그대로여야 되는거아닌가요?


결국 나의 네추럴한 면역력이 낮아지는만큼 자가면역이 줄어들고 그게 유지되길 바라는건가요?

그런다음 스테로이드 복용을 중단하면 다시 네추럴한 면역을 회복하고 자가면역질환은 줄어드는 걸 기대하는건가요?


눈이 너무피곤합니다 중증근무력증의 경계에 있습니다

눈피로와 인지저하가 운동을해도 잘낫지않아 스테로이드를 복용해보고싶네요 진단되지않은 눈피로와 인지저하 때문에 5년이상 학습이안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스테로이드 사용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테로이드의 작용과 면역 시스템의 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특히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항염증 및 면역억제 효과가 있어 자가면역질환의 증상을 완화하는데 사용됩니다. 자가면역질환은 면역체계가 신체 자체의 조직을 이물질로 오인하여 공격하는 상태인데, 스테로이드는 이러한 면역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염증과 조직 손상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스테로이드가 면역력을 저하시킨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는 스테로이드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기 때문인데, 이는 면역 체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자신의 몸을 공격하는 자가면역 질환을 조절하는데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정상적인 면역 반응도 억제되어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는 실제로 체내에서 생성되는 코르티솔과 유사한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그 효과는 훨씬 강력하고 지속적입니다. 스테로이드의 지속적인 사용은 체내 코르티솔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는 면역 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치료의 목적은 자가면역 반응을 억제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며, 치료가 종료되면 면역 체계의 활동이 점차 정상화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자가면역질환의 증상이 재발할 수도 있으나,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증상을 통제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치료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철저히 관리되어야 하며, 장기적인 사용은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