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나무777
나무777

오늘 드라마를 보는데, 대군자가라 부르던데요. 대군자가가 무슨 의민지, 누구에게 부르는 호칭인지?

오늘 드라마를 보는데, 대군자가라 부르던데 무슨 의미인가요? 이런 호칭을 누구에게 하는 것인가요?

잘 들어 보지 못한 호칭인데, 이런 호칭을 썻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군 자가가 어떤 의미인지가 궁금하군요.

    왕비 소생의 왕자를 높여 부르는 호칭으로 보여집니다.

    대군은 고려 시대 및 조선 시대에 왕자들에게 내려진 작호의 일종입니다. 조선의 경우 정실 왕비 소생의 왕자들에게만 대군이라는 호칭을 부여하였으며, 첩(후궁) 소생에게는 "군"의 호칭을 부여하였습니다. 단 조선 초기에 한해 왕의 서자에게도 대군의 호칭이 내려진 적이 있습니다.

    자가는 조선 시대 왕의 가까운 자손, 즉 왕자(대군, 군), 왕녀(공주, 옹주), 왕세자의 아들(군), 왕세자의 딸(군주, 현주), 혹은 후궁 무품빈 및 정1품 빈에게 붙는 존칭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제로는 대군자가 등의 표현이 맞는 표현이라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라며 자가(自家)는 조선 시대 왕의 가까운 자손, 즉 왕자(대군, 군), 왕녀(공주, 옹주), 왕세자의 아들(군), 왕세자의 딸(군주, 현주), 혹은 후궁 무품빈 및 정1품 빈에게 붙는 존칭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가(自家)는 왕밑의 왕족에게 쓰는 존칭입니다.

    왕자(대군:왕의 직계후손 :직계가 아니거나 손자급)

    왕녀(공주:황제의 딸 옹주:제후왕의 딸)

    왕세자의 딸(군주, 현주)

    그리고 무품빈 또는 정1품 빈이 포함 되며

    말씀하신 경우 자가들 중에 대군이니까 대군자가 라고 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