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젊은몽구스151
젊은몽구스151

인공눈을 만들수잇는 원리는무엇인가요

겨울에 스키장에 인공눈을 만들수잇는 방법이 무엇인지요?

스키어들이 찾는 시키장에 인공눈을 만드는 원리는 무엇인지 알수잇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설기는 아주 작은 입자로 된 물을 공중에 뿌리고 그 물이 땅에 떨어지기 전 순식간에 수증기를 얼려 인공 눈을 만들어냅니다.
      이렇게 수증기가 눈으로 변하는 이 현상을 단열 팽창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인공눈은 제설기로 만들어집니다.

      먼저 물을 공중에 뿌리게되면 아주 작은 입자로 나뉘어집니다.

      이 작은 입자가 땅에 떨어지기 전에 순식간에 얼리면 인공 눈이 됩니다.

      이 수증기가 눈으로 변하는 것이 단열 팽창으로 인해 가능합니다.

      외부와 열 교환이 없는데 갑자기 부피가 팽창하면 기온이 떨어지는 것을 단열 팽창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 제설기를 통해 물을 아주 작은 입자로 분사시킵니다. 물이 아주 작은 입자가 되면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가 쉬워지는데, 추운 겨울에 분사시켜 물이 지면에 닿기전에 얼게하여 인공눈을 만들어 내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두가지 방식이 사용됩니다.

      얼음을 얼린 후 팥빙수의 빙수처럼 갈아서 뿌리는 형식과 화학약품을 사용한 방법이죠.

      후자의 화학물질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입니다. 일명 '인공눈가루'라고 불리는 이것은 그냥 딱딱한 하얀 가루 같지만, 물만 넣어줘도 부드럽고 시원한 눈으로 변합니다. 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은 물을 한 번 흡수하면 바로 내놓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어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느리게 건조하면 원래의 가루 상태로 되돌아간다고 합니다.

      제가 알기로 국내에 있었던 실내스키장은 전자의 얼음을 갈아서 뿌리는 형식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