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매너있는까마귀176
매너있는까마귀176

얼음의 밀도가 높으면 잘 안 녹나요?

어디선가 들었는데 그냥 그렇더라는 얘기만 있고 진짜 그런 건지 왜 그런지는 알 수 없어서 찾아봤는데 검색해도 못 찾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얼음의 밀도가 높을 수록 얼음이 느리게 녹는 건가요?

왜 그런 건가요?

그렇다면 밀도가 낮은 얼음과 높은 얼음은 어떤 차이 때문에 밀도가 다르게 어는 건가요?

(즉, 밀도가 높은 얼음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기특한고양이92
      기특한고양이92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얼음의 녹는점은 0도로 일정합니다. 다만 얼음의 표면적에 따라 녹는 시간이 달라지게 되므로, 전체 부피 대비 공기와 직접 노출되어 있는 표면적이 적을수록 녹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얼음의 밀도는 보통 0.91g/cm3입니다.

      그리고 물의 밀도가 0.9998 입니다.

      따라서 얼음의 밀도가 물의 밀도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면, 이미 녹고 있는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