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5.31

예전에 많이 하고 놀던 공기놀이 유래가 알고싶어요.

어릴 때는 정말 장난감 같은 것도 없어서 주위에 있는 돌을 주워서 공기 놀이라는 것을 많이 하고 놀았었는데 이런 공기 놀이 유래는 어떻게 되는지 그 역사가 알고 싶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3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기놀이는 방 안, 마루, 맨땅에서 은행알 만한 둥근 조약돌을 가지고 어린 여자애들이 올려 던지고 잡거나 줍거나 놓는 등 여러 가지 재주를 겨루는 놀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공기놀이의 유래는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공기놀이는 이미 삼국시대에 널리 보급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으며, 고구려 수산리무덤(5세기 후반기)의 서쪽벽에 다섯 개의 공기를 가지고 올려 던지면서 재주를 부리는 모습이 생동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공기놀이에 대한 기록은 19세기 초에 이규경(1788~?)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우리나라에는 아이들이 둥근돌을 가지고 노는 놀이가 있어 ‘공기(拱碁)’라고 합니다. 둥근 돌을 공중에 던져 손바닥으로 받고 이미 받은 것을 솥밭형태로 만드는 것을 ‘솥밭공기’라고 한다”고 하였지요. 근대시기의 그림을 통해서도 어린이들이 공기놀이를 하는 모습을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자료를 통하여 본바와 같이 비록 공기놀이라는 기록이 19세기 초에 처음 보이지만 그것은 이미 삼국시대에 발생하여 널리 보급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지식백과 공기놀이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세기 후반의 것으로 추정되는 고구려 수산리벽화고분의 서쪽 벽에 다섯개의 공기를 가지고 올려 던지면서 재주를 부리는모습이 있으며 5세기 중엽 조성된 장천 1호고분 벽화에도 일곱개의 공기를 차례로 공중에 올려 던져놓고 내려오는 것을 잡기위한 모습이 있는데 이 두벽화가 조성된 시기가 고구려때이므로 이 놀이는 최소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기놀이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오래 전부터 시행했던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19세기 초 이규경이 기록한 "오주 연문 장전 산고"라는 책에도 조약돌을 가지고 하는 아이들의 놀이를 공기라고 하는데 '조약돌을 공중에 던져 받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둘이나 셋 또는 그 이상의 어린이가 모여 편을 짜서도 합니다. 계절과 장소에 관계없이 행해지며, 전국에 퍼져 있는 보편적인 놀이입니다. 지방에 따라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는데, 경상북도에서는 ‘짜게받기’, 경상남도에서는 ‘살구’, 전라남도에서는 ‘닷짝걸이’, 그밖에 ‘좌돌리기’ · ‘조개질’ · ‘좌질’이라고도 합니다.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공기(拱碁)’에 대한 기록이 나오고 있어 그 유래가 상당히 오래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먼저 도토리알만한 크기의 공깃돌을 다섯개 준비합니다. 공깃돌은 알맞게 생긴 돌을 주워모으거나 마땅한 돌이 없으면 적당한 크기로 다듬어 만듭니다. 특히, 차돌로 만든 공기는 부딪치는 소리가 맑아서 경쾌한 느낌을 줍니다. 요즈음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공기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놀이방법은 지방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데,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다섯개의 공깃돌을 손바닥에 쥐고 그 가운데 한알을 위로 던져올리는 동시에 나머지 네알은 얼른 땅바닥에 놓은 다음, 던져올린 돌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받습니다. 그 돌을 다시 던져올리면서 땅바닥의 돌 한알씩과 내려오는 돌을 같이 잡기를 네번 합니다.


    돌을 잡을 때 옆의 돌을 건드리거나 내려오는 돌을 못 잡아서 실수하면 실격이 되어 차례가 다음 사람에게 넘어갑니다. 한알씩 잡기를 성공하면 두번째로는 두알씩 잡기를 두번 하고, 세번째로는 한번에 세알을 잡고 나머지 한알을 잡습니다. 다음 네번째로는 땅바닥의 네알을 한꺼번에 쓸어잡고, 다섯번째로는 다섯알을 다 쥐어서 던져올렸다가 손등으로 받고 난 공깃돌들을 다시 올렸다가 떨어지는 것을 다 한꺼번에 채어잡습니다.


    그 다섯번째 채어잡기를 할 때, 손등에 얹혔던 돌이 셋이면 3년, 다섯이면 5년으로 계산하는데, 손등에 얹혔던 돌을 던져올려 채어잡을 때 하나라도 놓치면 실격이 됩니다. 그래서 작은 손등에 얹힌 돌들을 손등을 움직여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채어잡기 좋게 조절하고 모으느라고 안간힘을 쓰게 됩니다. 손등에 공깃돌이 하나도 얹히지 않아도 실격이 되어 역시 공깃돌을 다음 차례에 넘겨주고 기다려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기놀이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오래전부터 연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19세기 초 이규경(李圭景)이 기록한 『오주 연문 장전 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라는 책에도 '조약돌을 가지고 하는 아이들의 놀이를 공기라고 하는데, 조약돌을 공중에 던져 받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출처:세계한민족문화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