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대일수록 기온이 낮은 이유는 뭘까요?
여름이 다 가기전에 강원도로 마지막 휴가를 왔어요. 숙소를 고지대에 잡았는데 올라올수록 공기가 시원하게 느껴지네요.
같은 지역인데도 고지대가 더 기온이 낮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가 존재하는 대류권내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지상에서 11km까지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즉 고도가 올라갈수록 기압이 낮아지면서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100미터 마다 약 0.65도정도씩 내려 갑니다. 대기가 기압이 내려가면서 팽창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대류권내어서는 대기가순환을 하고 대기는 지표열로 데워 집니다. 대류권을지나 성층권에 도달하면 20km까지는 온도가 거의 동일하고 그이후 부터는 고도가 올라갈수록 뜨거워 집니다. 오존이 자외선을 흡수해 뜨거워 집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류권(지상에서 상공 12km 정도)에서는 고지대로 갈수록 온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지대로 갈수록 태양과 가까워져 온도가 높아져야하는거아니냐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대류권에서는 지구내부에서 나오는 열(땅에서 나오는 열)의 영향력이 더욱 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면과 멀어질수록 온도가 떨어지죠. 그래서 고지대가 더 기온이 낮습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찬공기가 위에 놓이고, 따뜻한 공기가 아래에 놓여 대류현상이 발생하는것이죠.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면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지면의 복사에너지가 약해지기 때문에
고도가 올라갈 수 록 기온이 내려갑니다.
감사합니다.고지대는 흔히 대류권 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류권은 높이 올라갈수록 지표면에서 나오는 지표 복사 에너지가 도달하기 힘들기 때문에 온도가 감소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지대가 시원한 이유는, 태양과의 거리가 좁혀져 얻는 에너지보다 지표에서 멀어져 약해지는 복사열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