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알뜰한토끼288
알뜰한토끼288
23.01.31

FOMC를 앞두고 왜 떨어지나요?

이제 금리 다 올랐다고 보는 시각이 많은거 아니였나요? FOMC 별 영향 없어야 된다고 보는데 왜 또 떨어지기 시작한걸까요? 차익실현일려나.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김한 경제전문가blue-check
    김한 경제전문가
    구름
    23.01.31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내가 세력이라고 가정한다면 그동안 많이 올려놓았다면 차익실현하는게 아무래도 낫겠죠.

    금리를 많이 올렸으니 더 이상 올릴게 없다는 것은 개미 꼬이게 하기 위한 찌라시일뿐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 금리를 움직이는 FOMC 파월 의장의 의중이고

    앞으로 2% 목표까지 긴축정책을 펼치겠다하였고

    아직 6.5%의 높은 물가율을 고려한다면 빅스텝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합니다.

    이런 걸 알고 자기네들은 팔거면서 이제 끝났다는 등의 기사를 보내면서 개미들 꼬시는거죠.

    일반 증권가 찌라시말고

    현재 경제가 어떻게 가고 있는지, FOMC 연설, 특히 파월 의장의 의중이 어떻게 방향을 잡는지를 보시는 걸 권유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FOMC에 대한 인상폭이 0.25%일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인 가운데, 이러한 예상은 꽤 오래전부터 진행되었고, 현재의 주가 하락은 FOMC에서의 향후 금리정책 발언에 대해 보수적으로 지켜보는 입장이 많아지면서 생겨난 것으로 보이며, 나아지고 있다는 시장의 전망이 꽤나 많은 상승을 불러왔기에 수익실현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시장은 fomc를 앞두고 회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불안감으로인해 투자자들이 금융자산을 팔거나, 보유하는 경우가 많아 보합이나 소폭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0.25%인상으로 금리인상 속도가 둔화에 대한 기대감은 시장에 다 반영이 되면서 반등을 보여준 상황에서, 차익실현을 하고 FOMC 결과를 보고자 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