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수려한백로159
수려한백로15924.03.12

이미지 파일 확장자 중에 png랑 jpg 차이가 뭔가요?

이미지 파일 중에 보통 확장자가 대부분 png랑 jpg가 많잖아요? 평소에 특별히 신경 안쓰고 쓰고 있는데, 특정한 목적으로 저의 사진을 업로드하는 그런 경우에 png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고 jpg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같은 이미지라도 png가 용량이 더 나가던데 둘의 차이가 어떤 게 있어서 그런걸까요? 둘 다 어떤 용도가 다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JPG 손실압축방식을 사용해서 파일의 크기를 크게 줄여주면서 저장을 해주는데요. 파일의 크기가 줄어들더라도 사람의 눈으로는 구별할 수 없는 수준으로 품질을 유지해줍니다. 보통은 소셜미디어나 웹사이트 게재용으로 사용이 된답니다


    PNG는 무손실 압축방식을 적용해서 사진의 품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파일의 크기를 줄여주는데요.

    PNG는 투명한 배경이 필요한 로고 작업이나 아이콘과 같이 선명도가 중요한 이미지를 저장할때 쓰입니다.


    JPG는 여러번 수정하고 저장하는 작업이 반복될수록 품질은 저하되는 반면, PNG는 품질이 유지가 되는 차이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관동메이슨그린우드입니다.

    PNG(Portable Network Graphics)와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이미지 파일 형식입니다. 이 두 형식은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이 있어 특정한 용도에 맞게 선택됩니다.

    PNG (Portable Network Graphics):

    1. 손실 없는 압축: PNG는 손실 없는 압축 형식으로, 이미지를 압축하면서도 원본의 품질을 유지합니다.

    2. 투명도: 투명 배경을 지원하며, 투명한 부분을 가진 이미지를 저장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3. 무손실 포맷: 이미지를 여러 번 저장하고 수정해도 품질이 손상되지 않습니다.

    4. 일반적으로 용량이 큼: JPEG에 비해 이미지 파일이 크기가 큰 편이기 때문에 웹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주로 JPEG 대신으로 사용됩니다.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1. 손실 압축: JPEG는 이미지를 압축할 때 일부 정보를 손실시키는 손실 압축 형식입니다.

    2. 품질과 파일 크기의 트레이드오프: 품질과 파일 크기 사이에 트레이드오프가 있습니다.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원할 경우 파일 크기가 커집니다.

    3. 색상 표현: JPEG는 색상을 근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사진이나 그림에 적합합니다.

    4. 웹에서 많이 사용: JPEG는 손실 압축이지만 파일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웹에서 이미지를 빠르게 로딩하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어떤 용도에 어울리는가:

    - PNG: 투명도가 필요한 이미지, 손실 없는 이미지 품질이 중요한 경우.

    - JPEG: 사진이나 웹에서 빠른 로딩이 필요한 경우, 투명 배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따라서, 특정한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PNG와 JPEG 중에서 선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관박쥐58입니다.

    가장 이해하기쉽게 말씀드리면 어떤케릭터가있으면 배경을 분리하고싶잖아요 ? 그 케릭터만 따로 배경없이 저장하려면 png로 저장하셔야합니다 . png는 투명도를 지원하거든요 그래서 내가 포토샵에서 케릭터를 다른 배경에 넣을거야 하면 png로 저장을 하셔야 케릭터만 별도 분리되서 저장이됩니다 하지만 jpeg는 투명도 분리지원이 안돼 하얀색으로 배경과 케릭터가 같이붙어서 저장이됩니다


  • 안녕하세요. 냉철한라마35입니다. png가 조금 더 화질이 좋은 걸로 아는데요. 하지만 jpg가 압축율이나 효율성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