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진실된고라니24
진실된고라니2423.09.08

2살 아이가 있는데 어린이집은 언제부터 가면되나요?

안녕하세요

2살 아이가 있습니다.

아직 많이 어린데 벌써부터 다른집은 어린이집을 보낸다고 합니다.

보통 언제부터 어린이집에 보내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9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 보내는 적절한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하군요.

    주양육자와 애착형성을 하는 시기는 아이마다 개인차이는 있겠으나 보통 생후6개월~생후24개월까지입니다.

    이 시기의 애착 형성은 아이의 사회성 발달 및 향후 성장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에게 애정표현을 많이하고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낯가림은 생후 6개월경에 시작해서 11~12개월 정도에 끝이 납니다.

    애착형성은 낯가림과 분리불안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 사항을 잘 염두하고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육아휴직을 1년동안 부여하는 이유도 이런 연유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돌이 지난 후 아이가 심심해 할 수도 있으니 짧은 시간이라도 기관에 보내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과 의사들이 권장하는 나이는 보통 36개월전후를 이야기합니다. 주양육자인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형성되는 시기는 넘겨주는게 좋다는 것인데요. 실상은 자신의 가정상황에 맞춰서 다들 보내고 계시죠.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은 가정의 사정에 따라 다를 수 있겠는데요

    가장 적절한 시기는 아이가 자신의 의견을 언어로 잘 표현할 수 있을 때 보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4살~5살 보내시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소아과에서 권장하는 건 36개월까지는 가정보육을 하는 걸 권장합니다.

    아이들이 기관에 가게 되면 처음엔 힘들어해도 적응은 하지만 아이들 나름 불안함을 느끼고, 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합니다. 그리고 많은 아이들이 생활하기 때문에 아픈 날도 정말 많아요.

    하지만 요즘은 돌 지나면 보내는 추세이기도 합니다. 대부분 육아휴직을 일 년정도만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돌 이후부터 어린이집을 다니기도 하고, 엄마의 개인시간을 위해 또는 아이의 사회성을 위해 일찍 보내기도 해요.

    이건 부모들 마다 가지고 있는 생각이 다르니 잘 상의해서 보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현재 정서 상 돌만 지나도 기관을 다닙니다. 무상지원으로 기관을 안 다니면 손해본다는 느낌을 받는지 작년 0세 70만원 지원 전엔 돌전 0세들도 기관을 꽤 다녔지요.

    주변 사람들이 다 기관을 보내니 나 혼자만 안 보내면 이상한 사람으로 생각하는 분위기도 있더라고요.

    전 왠만하면 만1세 24개월전 까진 기관보단 가정보육을 추천합니다.

    아직 감염병등 면역이 약한 아이들입니다. 기관에서도 기본적 위생에 신경을 쓰고 있지만 집단 생활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와 부모님간 유대를 강화시킬 시기에 하루 6시간 이상을 타인과 지내야 합니다. 그것을 이제 세상에 온지 두돌도 안된 아가가 겪고 이겨내야 합니다. 몇일을 '엄마 엄마' 하고 울며 불며 불안해 하며 스스로 이겨냅니다. 그럴때 보면 참 기특하기도 하지만 굳이 가정보육이 충분한데 원에 보내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때도 있습니다.

    가정 사정 상 기관을 꼭 이용해야 할 경우는 어쩔 수 없지만 여건이 된디면 어느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부모님과의 충분한 유대관계가 형성된 시기에 기관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은 배변훈련을 통해 기저귀를 뗀후 만3세경에 보내시는게 신체와 정신이 안정 되어서 좋을듯합니다.

    각 가정마다 사정이 있어서 한살이하의 아이부터 다양한 연령대에 보내는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4-5살 시기에 어린이집을 많이 보냅니다.

    그이유는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경험한 것을 부모에게

    표현할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맞벌이 등의 상황이

    아니시라면 조금 늦게 보내시는 것도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시기는 또래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시기에 보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 시기는 만3세 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또래들과 어울려 또래놀이를 하는 만3세경부터가 좋습니다.

    너무 이른 시기에 어린이집에 가게되면 적응의 문제도 있고

    부모님 손에서 오래 양육되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보내는시기

    1.부모환경에맞추어

    2.아이가스스로의사표현정도를할때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 보내는 시기는 각 가정의 환경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아이가 어느 정도 자신의 의사 표현을 하기 시작할 때 보내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면역력이 어느 정도 생긴 후에 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와 아기와의 애착 형성을 위해선 36개월 까지는 되도록 가정에서 엄마와 함께 보내는 것이 아이의

    정서에 가장 좋은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아기가 아프지 않고 어느 정도 건강해지면 그 때 고려를 해보셔야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흔히 어린이집 보내는 시기를 보면 두돌 이후에 많이 보내는편이며

    두돌 이후에 아이가 어느정도 의사를 표현하며 활동이 좋기떄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5세정도까지는 보육을 위해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가정의 사정과 형편에 따라 상이할수 있으니 참고하시고 가급적 어린 아이일수록 부모가 직접 케어를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면역이 많이약하기 때문에 맞벌이 등의 이유가 아니라면 생후40개월 이후에 보내도록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만 2 ~ 3살 정도면

    어린이집에 보낼 수 있고 지금부터도

    보내셔도 될 것으로 보여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24개월까지는 가정보육을 하시기를 바라며

    가장 이상적인 것은 개인적으로 36개월 이후에

    어린이집에 보내시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