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4

세종대왕이 만드신 측우기는 어떠한 원리로 강수량을 측정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조선초기에 세종대왕은 농업기술의 발달을 위해서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우기를 발명하셨는데 측우기는 어떤 원리로 강수량을 측정하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테나
    아테나23.05.04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옛날 측우기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그냥 측우기의 통 안에 들어간 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강수량을 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부에 작은 구멍이 뚫린 용기에 물을 채워놓은 후 아래에 대야를 놓습니다. 그 후 비가 오면 용기의 구멍을 통해 물이 빠져나가면서 대야에 채워지게 됩니다. 이때 대야에 쌓인 물의 양이 강수량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측우기는 지름은 약 15cm, 높이 약 43cm 정도의 철로 만든 원통형 본체와 이것을 보관하기 위한 돌로 만든 측우대, 원통 안에 고인 빗물의 깊이를 재기 위한 자 등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읍니다.돌로 된 받침 위에 쇠로 만든 원통을 올려놓은후 비가 오면 원통에 고인 수량을 측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측우기는 빗물을 받아 자(주척)를 넣어 젖은 부분의 높이를 재는 비교적 간단한 원리로 되어 있습니다. 모양은 원통형인데 이유는 하늘에서 비가 떨어질 때 측우기 모서리에 각이 져 있으면, 물이 튀어 정확하게 양을 측정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측우기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그냥 측우기의 통 안에 들어간 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강수량을 재는 것입니다.

    가. 측우기는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문종 임금이 세자 시절 때 구안하고, 장영실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우량계이다.



    나. 지름은 약 15cm, 높이 약 43cm 정도의 철로 만든 원통형 본체와 이것을 보관하기 위한 돌로 만든 측우대, 원통 안에 고인 빗물의 깊이를 재기 위한 자 등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 측우기를 개발한 이유는 비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농사짓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어서 가뭄이나 홍수 등의 천재지변에 대비하기 위해서이다.



    라. 현재 사용되는 우량계는 밑바닥이 있는 금속제 원통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원통 속에 고인 강수의 깊이를 자로 측정하거나 수량 또는 무게를 측정한다. 우량계의 원통 지름은 보통 20cm이고 물이 들어오는 수수구는 땅에서 높은 곳에서 위치하여 우량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현재 사용되는 우량계는 측우기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이 발명한 측우기는 원리가 간단합니다.

    돌로 된 받침 위에 쇠로 만든 원통을 올려놓고, 비가 오면 원통에 고인 수량을 측정합니다.


    참고로, 요즘 눈으로 보면 대수로울 것도 없지만 당시엔 획기적인 아이디어 였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솔 과학전문가입니다.

    원통에 빗물이 차면 깊이를 잴수 있는 자로 물의 깊이를 재서 강수량을 측정했습니다. 1441년 만들어진 측우기는 지름 16cm 깊이 41cm였으나 너무 깊고 비가 그정도로 많이 오는 경우는 없어서 1442년에 크기를 줄였고 비가 온 뒤엔 물을 버려야하는데 철로 만든 것은 무게가 많이 나가 구리로 바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측우기의 원리는 매우 간단합니다.

    원통으로 된 통에 받아지는 빗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지금은 매우 간단해 보이지만 그땐 매우 획기적인 일이 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