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박일규
박일규22.07.31

크레아티닌 수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나이
32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혈압약 정신과약
기저질환
고혈압

대학병원에서 혈압 때문에 3개월에 한번 순환기내과 진료를 보고 있습니다. 옛날에 2~3년 혈압약을 끊다 단백뇨가 나온적이 있습니다. 6개월전까지 크레아티닌 수치가 1.1 단백뇨 음성이었습니다. 그런대 오늘 단백뇨는 음성이었는대 크레아티닌수치가 1.29가 나왔습니다. 1.2까지가 정상인대 정상치를 초과해서 너무 놀랐습니다. 신장이 망가지고 있다는 증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크레아티닌 단독으로 0.09가량 수치를 넘긴것은 임상적으로 큰 문제를 이야기하지는 않습니다.

    물 섭취를 조금만 줄여도 증가할 수 있는 수치이기 때문에 다음 검사에서 변화과정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크레아티닌 수치가 증가하는 것은 유심히 관찰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한번의 검사 결과가 중요하기보다는 검사 결과의 추세가 중요하므로 추적관찰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직 1.29 까지는 신장이 망가졌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검사 전 금식 시간이

    길었던 경우에도 Creatinine 증가를 보일 수 있으며 수분을 충분히 보충하고

    검사를 하는 경우, 다시 정상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이며 1.29 역시 정상 수치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Creatinine 이 2.0 이상인 경우는 신부전이 생긴다고

    보기 때문에 그 전까지는 고혈압 치료와 함께 저나트륨 식이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한 번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게 나왔다고 하여 무조건 신장이 망가지고 있다는 증거로 볼 수는 없습니다. 몸의 탈수, 전해질 상태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크레아티닌 수치는 일시적으로 높아질 수도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반복하여 높게 나온다면 신장이 망가지고 있다는 증거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