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충실한도요296
충실한도요296

무상증자란 무엇인가요? 숫자로 예를들어 쉽게 부탁 드립니다

무상증자시

숫자로 이해하기 쉽게 부탁요.

분명 주당 9천원이었는데

갑자기 2천원 후반이 되었네요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해가 힘들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주당 신주 3주를 받는 무상증자가 진행된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상증자가 진행되면 주식 수가 늘어나게 되고, 그만큼 주가가 떨어지게 됩니다.

      예를 들면, 1주당 신주배정 주식 수가 3주라면, 주식 가격은 1/3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라고 하는 것은 주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이익잉여금 혹은 자본잉여금의 자본전입을 통해 주식을 발행하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인데, 실제 주식 대금의 납입이 없이 주식수가 늘어나게 되요. 예를 들어서 9천원인 현재 주식의 가격에서 1:3의 비율로 무상증자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1주당 3주의 주식을 무상으로 주게 되면서 권리락이라는 것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럼 9천원의 주식 가격은 새롭게 발행되는 3주를 합한 4로 나눈 가격인 2,250원의 가격으로 권리락이 발생하게 되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와 같은 경우에는

      회사의 이익잉여금의 일부를 자본금으로

      편입하여 주식수를 늘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주식수를 1000주를 늘리면 대금을 받지 않고

      기존의 주주들의 가지고 있는 양에 따라서 이를 나누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복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는 기업이 새로운 자금을 유입하지 않고 추가 자본을 확보하거나 부족한 자본을 보충하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입니다. 새로운 주식을 추가 발행해서 기존 주주들에게 무료로 나눠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요한 점은 무증으로 인해서 시가총액은 변하지 않고 자본금만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시가총액이 100만원이고 총 발행주식이 100주라고 가정할 때, 1 : 1로 무상증자를 한다면 기업의 시가총액은 100만원으로 동일하지만 주식은 200주가 되며, 따라서 주당 가격은 1만원에서 5천원으로 조정됩니다. 이를 권리락이라고 하죠.


      주주 입장에서도 권리락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한 듯하지만, 보유 주식수가 증가하여 결국 총평가금액은 전과 같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시장에서는 주가가 낮아진 모습으로 비춰지면서 새로운 투자자들의 관심이 증가해 주가는 일정 부분 상승하는 효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많은 경우 무상증자는 호재로 작용하죠.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예를 들어 1주당 2주의 무상증자를 할 경우 1주당 2주를 더주게 되는데 기존 9,000원이었던 주식의 가격은 권리락(무상증자 권리락)으로 인해 1주당 3,000원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그래서 무상증자는 실질적으로 주주의 부를 증가시키지 않는 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