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123456789
12345678923.07.23

북극 얼음이 많이 녹았다는데 어느 정도 인가요?

북극에 얼음이 많이 녹아 상태가 심각하고 심지어 북극권 어느 나라에서 눈이 아닌 비가 내렸다는 영상을 본 적이 있습니다 지금 기후 위기가 얼마나 생각하며 이대로 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남극과 북극의 눈과 얼음이 계속해서 녹고 있습니다. 북극의 경우 대륙이 없고 빙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남극은 대륙 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북극의 빙하가 녹게 될 경우 해수면의 상승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물 위에 얼음이 둥둥 떠있다가 얼음이 녹아도 수위가 안 올라가는 이유와 같습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데, 그 부피가 커지는 만큼 수면 위로 뜨기 때문이죠. 하지만 남극의 경우는 다릅니다. 남극은 대륙이며 대륙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이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바다로 유입되면 해수면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 면적의 70퍼 정도가 바다이며 일부 남극의 얼음이 전부 녹지 않는 이상 해수위의 상승은 미미합니다.

    눈과 얼음이 녹아 바다로 유입되고 태양 에너지를 받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해수위가 상승하는 또 다른 조건입니다. 바닷물에 열이 가해지면 운동성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온난화로 인해 영구동토층이 녹아 온난화를 가속시킬 위험도 존재합니다.

    영구동토층은 보통 북극의 고위도에 위치하며, 1년 내내 얼어 붙어 있는 퇴적물, 토양, 기반암 등을 의미합니다. 영구동토층의 면적은 지구 육지 표면적의 14%이며 약 2100만 km² 입니다. 이 영구동토층은 탄소, 메탄 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녹게되면 탄소와 메탄가스가 대기로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한폭탄이라는 표현을 하고있죠. 온난화로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영구동토층이 녹을 수 있는데,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온실가스인 탄소, 메탄가스가 대기로 흘러나오니 온난화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죠.

    모든 빙하가 녹는다면 해수위가 60~80m 정도 올라간다는 추산이 있습니다. 만약, 모든 빙하가 녹아 섬이나 침수지역이 발생한다면, 자연 현상으로 막기에는 어려운 부분이며 과감히 침수지역을 포기하고 이전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육지, 섬이 줄어드는 만큼 인구 밀도는 높아질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해안지역 및 섬들에 심각한 침수 및 토지 이동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북극 지역의 기후 변화는 극지방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온난화로 인해 극지방 주변 지역과 다른 지역에도 기후 변동성이 증가하며, 극지방의 생태계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북극 지역은 다양한 동식물과 해양 생물의 서식지입니다. 얼음 녹음으로 인해 이러한 생태계가 파괴되면 수많은 종이 멸종할 수 있고, 생물 다양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