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청렴한백로27
청렴한백로27
22.12.17

유상증자와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주식을 하다보니 유상증자에도 제3자배정 유상 증자가 있더라구요 두개의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유상증자는 대게 '주주배정 유상증자'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3자배정 유상증자는 보통 증자대금을 납입할만한 재무여력을 갖춘 기관이나 개인을 기업이 선택하여서 증자를 하는 방식으로 M&A를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상증자 자체는 기업에 자본금이 들어오는 대신에 주식의 발행 물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 주주들에게는 악재가 되어서 주가는 하락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3자배정 유상증자의 경우 M&A대금이고 인수합병의 주체가 누구이냐에 따라서 호재가 되어서 큰 상승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수의 주체가 대기업이나 혹은 외국의 우량한 재무투자자가 들어와서 향후 회사의 재무구조 개선이나 혹은 사업실적이 개선될 가능성이 보이면 큰 폭의 상승을 하게 되며, 보통은 인수가 마무리되는 날에는 재료소멸로 인해서 주가가 하락하게 되니 이러한 호재가 발생하게 되면 어느정도 수익을 보시고 나오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상증자는 주주들로부터 자금을 납입받아 신주를 발행하는 것이며

    제3자배정 유상증자와 같은 경우에는 임원, 종업원 등 회사와 관계에 있는 자에게

    신주인수권을 발행하는 것으로 발행대상에 대하여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유상증자는 악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2.17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제3자배정은 외부 투자자에게 전적으로 지분을 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 주주 중 특정인에게 더 많은 지분을 배정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기존 주주의 이익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특히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범위 내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정관에 규정이 되어 있어야 합니. 만약 정관에 제3자배정에 대한 규정이 없다면 주주배정만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