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04.15

과거 우리나라 사람들은 밥을 정말 많이 먹었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왕들은 몇끼나 먹은건가요?

우리나라 과거의 밥공기를 보면 지금의 대접 수준만큼 크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일반 평민들말고 조선시대 왕은 몇끼나 먹었고 지금 기준과 대비해서 얼마나 드신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두끼를 먹는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아침과 저녁에 두번 먹었습니다.

    그래서 식사를 조석(朝夕)이라 불렀습니다.


    19세기 중엽까지는 2월부터 8월까지 세끼를 먹고 9월 부터 1월까지는 두끼를 먹었습니다.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 에 인용)


    18세기 후반에는 2월부터 8월까지는 점심을 먹었습니다.

    즉 해가 긴 여름에는 간단한 점심을 을 포함하여 세끼를 먹고 해가 짧은 겨울에는 두끼를 먹었습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총 5회에 걸쳐 식사를 했다고 합니다. 7시 이전인 이른 아침에 먹는 초조반은 보약을 먹지 않는 날에 유동식으로 죽, 응이 등으로 차려졌는데요. 아침 일찍 먹는 조반으로 초조반 또는 자릿조반이라고 불렀습니다. 아침 식사인 조반과 저녁 식사인 석반은 수라상으로 차려졌는데요. 낮것상이라고 해서 지금은 점심밥을 식사처럼 챙겨 먹지만,조선 시대 왕족들은 아침과 저녁 사이에 간단하게 먹는 간식상으로 차려졌다고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5찬은 야찬 인데여. 조선 시대 임금은 밤늦게까지 업무를 보는 경우가 많았어요. 야참으로는 주로 면, 약식, 식혜, 우유죽 등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차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