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에서 주 4.5일제를 시행한다면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학교를 다니는 학생이나, 직장을 출퇴근하는 직장인 입장에서는 당장 4.5일제를 한다고 하면 쉬는 시간이 많아지므로 좋아할 것 같기는 한데요.
하지만 나라 전체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또 다를 것 같은데요. 막상 주 4.5일제를 시행한다고 하면 장단점은 각각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20년전 주 5일제를 시행한다고 했을 때 경제계에서 엄청난 반대가 있었으며 시장 경제 성장율이 극도로 악화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주 5일 동안의 집중력이 상승되어 성장율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습니다. 또한 한국은 OECD 국가 중 근무 시간이 매우 긴 나라이기 때문에 4.5일제를 하더라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무엇보다 노동자에게는 워라벨이 강화될 수 있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광업이나 서비스업등의 활성화로 인해 경제적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또한 노동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런 공백을 줄이기 위해 신규채용이 확대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기업에서는 주 4.5일 운영이 어려울 수 있으며 근로자의 임금 감소 우려와 근무 강도가 증가할 수 있어 타협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4.5일제 시행되면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장점으로는 말씀대로 직장인들의 워라벨이 더 보장이 되며
또한 내수 진작에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단점으로는 근무 시간이 단축되면서 생산에 차질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민주당이 주4일 국힘이 주4.5일 이야기를 하는데 사실 임금동결하고 근무시간을 더 줄이면 요즘 같은 저성장 국면에 우리나라 현실에서 가능할가 싶습니다 공무원 대기업들은 가능하겠지만 중소기업은 사실상 주5일도 못지키는 업체들이 많긴한거니까요 이러면 직장인들은 누군 놀고 누군 일하고 그러면 오히려 부작용이 더 커질 우려가 저는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 4.5일제가 시행되면 발생할 수 있는 장점으로는 더 많은 여가시간과 유연성을 제공하여 근로자들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근로자들의 참여도와 만족도가 높아지면, 기업의 리더십과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반면, 단점은 직원들이 근무하는 날이 줄어들기 때문에 일의 양이 감소하면서 오히려 생산성이 하락할 우려가 있고, 업무 계획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일의 양과 근로 시간이 줄어들면서 임금도 줄어들 우려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