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넉넉한기린210
넉넉한기린21024.01.14

순상품교역조건과 순안정자금조달비율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경제금융 용어중에 순상품교역조건이란? 무엇을 말하는지 설명해주세요?그리고 순안정자금조달비율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순상품교역조건이라고 하는 것은 (수출단가지수 / 수입단가지수) * 100으로 산출하게 되는데, 이는 수출 1단위를 통해서 수입할 수 있는 수입량을 의미하는 것이에요. 그리고 순안정자금조달비율이라고 하는 것은 유동성을 감안한 은행 보유자산대비 안정적 조달자금의 비율을 말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순상품교역조건이란 수출품목 1단위를 수출해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의미합니다.

    순상품교역조건= (수출물가지수/수입물가지수)*100

    순안정자금조달비율이란 금융기관 자산부채구조에 내재된 유동성 위험을 보완하기 위해 1년 내에 유출 가능성이 큰 부채 규모를 충족할 수 있는 장기 안정적 조달자금을 금융회사가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출 1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수입량이다. 수입단가지수에 대한 수출단가지수의 비율(순상품교역지수)로 표시된다. 순상품교역지수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수출단가의 상승폭이 수입단가의 상승폭보다 커야 한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순상품교역조건은 상품수출의 가격과 상품수입의 가격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순상품교역조건이 1보다 크면 상품수출의 가격이 상품수입의 가격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순상품교역조건이 1보다 작으면 상품수출의 가격이 상품수입의 가격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순안정자금조달비율은 금융기관이 보유해야 하는 자금과 자산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순안정자금조달비율이 100% 이상이면 금융기관은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순안정자금조달비율이 100% 미만이면 금융기관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순상품교역조건은 국제 무역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수출입 거래 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 조건을 나타냅니다. 순상품교역조건은 주로 INCOTERMS라고 불리는 국제 무역 용어 규정에 따라 정의되며, 배송, 보험, 관세 등의 책임과 비용을 어느 당사자가 부담하는지를 명시합니다.

    순안정자금조달비율은 금융 기관의 안정성 강화를 위한 규제 요건 중 하나입니다. NSFR은 금융 기관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자금 조달을 유지할 수 있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금융 기관은 장기적인 자금 조달을 보장하여 위험 요소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