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컹크처럼 방귀 냄새가 심하게 나는 동물들은 어떤 동물이 있나요?
아이와 함께 책을 읽다가 노린재라는 곤충에 대한 이야기를 읽었는데요, 노린재라는 곤충도 스컹크처럼 방귀 냄새가 심하다고 하네요. 스컹크나 노린재처럼 방귀 냄새가 심한 동물이 또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냄새 고래 : 냄새 고래는 해양 동물 중에서 가장 큰 이빨고래로 알려져 있으며, 매우 강한 냄새의 방귀를 내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2. 귀뚜라미 : 귀뚜라미는 몸에서 특유의 냄새를 발산하는데, 방어 메커니즘으로서 냄새를 이용합니다. 이들은 주로 식물을 먹고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1. 노래기
다지아문 배각강에 속하는 다지류의 총칭으로 지네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리의 개수가 많고 지네와는 다르게 초식동물 입니다. 노래기라는 이름은 말 그대로 노린내를 풍겨서 붙여졌습니다. 노래기를 만지면 몸을 돌돌 말고 독한 냄새를 풍깁니다.
2. 집게벌레
곤충강 집게벌레목 곤충의 총칭으로 '집게'벌레라는 이름처럼 꼬리에 집게가 나있습니다. 집게벌레는 자신을 보호할 때 꼬리에 있는 집게를 사용 합니다. 하지만 고마브로집게벌레나 큰집게벌레와 같은 일부 종들의 경우에는 항선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는 황갈색 액체를 76~102mm까지 뿜어내서 자신을 보호 합니다.
3. 노린재
유시아강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지독한 냄새로 유명한 곤충 입니다. 노린재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손으로 잡았을 때 노린내 같은 악취를 풍기기 때문 입니다. 그 냄새가 얼마나 지독하냐면 개구리나 사마귀가 사냥에 성공해도 바로 괴로워할 만큼 냄새가 지독 합니다. 다만 그 냄새나는 물질에 독성이 있는 것은 아니라서 절대적인 보호수단은 되지 못합니다. 그래서 아주 굶주린 포식자나 냄새 따위는 신경쓰지 않는 포식자들에게는 손 쉬운 먹잇감 입니다.
4. 무당벌레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으로 무당벌레라는 이름은 무당처럼 화려한 색을 하고 있는 데에서 유래 하였습니다. 무당벌레는 자신을 보호할 때 죽은 척을 하지만 죽은 척이 통하지 않으면 보호액을 분비 합니다. 성충의 경우에는 다리관절에서 애벌레는 등에서난 돌기에서 분비 합니다. 이 보호액은 냄새와 맛이 쓰며 먼지벌레나 집게벌레, 노린재 정도로 지독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무당벌레의 보호액은 모든 적으로 부터 100% 안전한 건 아니며 그걸 무시하고 먹는 천적들도 존재 합니다.
5. 반딧불이
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흔히 개똥벌레라고 불립니다. 크기는 1~2cm의 작은 곤충 입니다. 나는 속도가 매우 느려서 손으로 낚아챌 수 있을 정도지만 몸에 취선이 있어서 손으로 잡으면 먼지벌레에 버금갈 정도로 끔찍한 냄새를 풍깁니다.
6. 먼지벌레
딱정벌레과 먼지벌레아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한반도 전역과 일본, 시베리아 동부 등 동북 아시아 극동지방에 분포 합니다. 먼지벌레는 적에게 잡히면 끔찍한 냄새가 나는 방어물질을 내뿜습니다. 참고로 먼지벌레는 폭탄먼지벌레와 이름이 비슷하지만 아과 단위에서 전혀 다른 곤충 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