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고리뼈 골절 후 재활끝나면 예전과 같을까요
손 갈고리뼈 골절인데 재활 끝나면 일상 생활하는데 지장 없겠죠 ? 신경이랑 옆에 있어서 너무 걱정이 되네요 .. 미세한 접합 이런 소리를 들으니 더욱더 걱정이 되네요.. 재활치료는 얼마나 해야 하나요?
![답변의 개수](/questions/_next/image?url=https%3A%2F%2Fmedia.a-ha.io%2Faha-qna%2Fimages%2Fcommon%2F3D%2Fanswer.png&w=64&q=75)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신경을 압박한다면 신경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보통은 불유합된채로 지내게 되는데 크게 문제는 없겠습니다.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유구골(갈고리 뼈)는 주로 라켓이나 야구 배트, 골프채 , 망치 등을 쥐는 동작에서 반복적인 충격을 받거나 손을 짚고 넘어질때 잘 발생합니다. X-ray상으로는 이 뼈가 손바닥면과 수직으로 위치해 있어서 골절을 발견하기가 아주 어렵습니다. 이 뼈가 위치한 곳을 누르면 아프다면 반드시 이골절을 의심하고 CT나 MRI를 찍어야 됩니다. 그렇지만 이 골절자체가 흔하지 않아서 일반의사들은 잘 진단하기가 어렵고 환자분들도 겉으로 부어오르는 증상등이 없어서 뼈가 붙지 않는 상태인 불유합으로 되기 쉽습니다.
일단 증상은 손바닥의 통증이 가장 문제가 됩니다. 그런데 이 갈고리 뼈는 주로 네번째와 다섯번째 손가락의 구부리는 힘줄의 도르래 역할을 하는게 또다른 문제의 시작점입니다. 반복적인 충격에 의해 골절이 생기고 우리 몸은 이를 붙히기 위해 가골이라고 뼈의 진을 만드는데 이게 자꾸 생겨서 이 도르래가 매끄럽지 못하고 울퉁불퉁해집니다. 이 거칠어진 면에 힘줄이 자꾸 비벼지다보면 힘줄이 어느 순간에 끊어지게 됩니다.
밧줄을 매끄러운 면에서 잡아당기면 끊어지지 않지만 거친 바위면에 대고 비비면 끊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따라서, 이 힘줄의 파열에서는 칼에 베인 깨끗한 상태와는 달리 힘줄 끝부분이 너덜너덜하고 보통 5-6cm정도의 힘줄이 없어진 상태라서 당겨서 봉합할 수는 없습니다. 선택은 손목의 수장장건을 떼어서 이 부족한 부분을 이어주는 것과 세번째나 네번째 손가락의 힘줄을 옮겨주는 방법입니다.
전자를 건이식술, 후자를 건전이술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불유합된 뼈는 제거해야됩니다. 뼈를 붙히기가 너무 어렵고 제거해도 손의 기능에 크게 지장이 없고 운동으로의 복귀도 빠르기 때문에(일명 맹장염, 충수돌기염에서 이를 절제해도 잘 사는 것처럼) 제거하는 수술이 일반적입니다.
앞서 말한대로 프로 골퍼 신지애 선수도 절제술을 한 것일 것입니다. 물론 건 파열이 일어나기 전에 절제해주는게 가장 좋습니다. 아주 초기에는 운동을 쉬는 것 만으로도 뼈가 붙는 경우도 있습니다.
건이식술은 원래 근육과 힘줄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다른 부위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연결부위가 두군데가 되므로 다시 끊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건전이술은 다른 손가락에 어떻게 하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물론 옮기는 힘줄은 천수지 굴곡건이라고 해서 손가락의 끝에서 두번째 마디를 구부리는 힘줄이므로 끝마디를 구부리는 힘줄에 의해서 두번째마디는 자동적으로 구부러집니다. 물론 힘은 조금 약해집니다. 끊어진지 상당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건전이술밖에는 안될 수도 있습니다. 힘줄이 끊어진채로 오래되면 근육이 퇴화되서 재 기능을 못하기때문입니다.
만일 굴곡건이 반복적으로 끊어지는 것은 무언가에서 잘못된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불유합된 뼈를 제거하지 않았다던가, 환자분이 담배를 피운다던가, 운동 방법에 문제가 있었던가 등등 여러 원인이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골절에 유압이 되신다고 해서 예전처럼 100% 돌아온다고 장담할 순 없습니다 유아의 정도 와 그리고 골절의 정도에 따라서 휴유증이 남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크게 걱정 안 하셔도 될 것입니다 보다 정확한 것은 진료받은 병원에서 상담하시길 보내 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 /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절이후 회복하고 계신 상황으로 보입니다.
당시 손상 정도가 얼마나 되고 현재 상태를 알지 못하여 회복기간을 말씀 드리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된다면 다시 한번 정형외과에 내원하셔서 본인의 상태와 다친 부위에 재활치료가 필요한지 등에 대해 진료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쾌차하시길 바랍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재활 치료는 골절 정도와 부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피부나 다른 근육 손상과 다르게 골절은 인대 손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회복에 많은 시간이 걸리며 보통 3개월에서 6개월 그리고 심한 경우 1년 이상 재활이 필요합니다.
미세한 접합이라도 정상적으로 회복되나 우리 몸은 회복될 시 정상조직이 아닌 섬유조직으로 회복되어 다른 조직에 비해 약할 수 밖에 없으며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골절이 치료되고 나서 완벽하게 후유증이 있을지 아니면 다소 후유증이 남을지 여부는 미리 알 수 없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회복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얼마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도 현재로써는 확실히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 다만, 골절이 회복되고 충분한 재활치료를 받으시고 나면 무리한 운동까지는 아니더라도 일상 생활을 하는 것에는 큰 지장이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