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고독한일개미
고독한일개미
22.11.21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아니였으면 지금 세계 경제가 좀 나아졌을까요?

현재 세계적으로 경제 상황이 좋지 못합니다.

향간에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아니였다면 지금쯤 어느정도 회복기에 접어들거라고 하던데

실제로 전쟁이 아니였으면 경제가 좀 회복기에 접어들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22.11.21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러우 전쟁이 없었더라도 그동안 뿌려놓은 달러를

    회수하기 위해서 지금과 같은 방법을 시행할 것입니다.

    그러나 러우전쟁으로 원자재 공급이 막히지 않았더라면

    지금과 같은 불안감이 없었기에 좀 더 완만한 정책을

    시행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1.2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아니더라도 이미 코로나19로 인해 유동성을 너무 많이 풀어놨기 때문에 물가상승은 피할 수 없었을 겁니다. 때마침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고 유가상승과 원자재 가격 상승이 겹치게 되었습니다. 결국에 터질게 조금 일찍 터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지난 10월 각 부문별 CPI를 보면 전체는 7.7%인데 에너지와 식료품 부문이 타부문 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에너지는 약18%, 식료품은 10.9%에 달합니다. 즉, 주요 곡물 수출 국가인 우크라이나와 천연가스와 원유 수출 국가인 러시아의 전쟁은 글로벌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며 이는 물가 억제를 위해 미연준이 금리를 급격하게 인상한 계기가 되었고 금리 인상기에는 익히 아시는 바대로 자산 시장 침체 등으로 가처분 소득과 투자가 위축되어 경기가 냉각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