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수줍게웃는타킨108
수줍게웃는타킨108
23.09.18

일제시대때 우리나라의 토지를 뺏어가면 무엇이 좋나요?

한일 의정서때도 그렇고, 동양척식주식회사, 토지조사사업까지 우리나라 땅을 그렇게나 많이 뺐어서 일본인이나 총독부땅으로 만드는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학문분야전문가(화학/미술등)
    학문분야전문가(화학/미술등)
    23.09.18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식민지 조선을 식량 및 원료 공급지로 만들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었습니다. 산미증식계획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일본에서는 식민지인 조선을 본격적인 식량 공급처로 키우고자 했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직후인 1918년 일본 농촌 인구의 이농현상과 도시집중현상으로 인해 쌀 재고량이 바닥나며 쌀부족 현상을 겪게 되었습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쌀 재고를 충분히 확보하고자 이에 조선총독부는 일본 내 식량증산계획에 발맞춰 산미증식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강점기에 일제는 우리나라 땅을 농민들에게서 빼앗아 갔는데 이를 엄청난 수탈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우리나라 농민들 땅임에도 농민들을 소작농으로 만들어 엄청난 세금을 거둬갔기에 농민들은 세금을 감당할 수 없어서 또 다른 소작농으로 저낙하고 말았습니다. 완도 소안도에서 시작된 소작쟁의 운동은 급속히 전남 전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급기야 독립운동으로 전개되기에 이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