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소득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올해 생계급여가 역대 최고로 올랐다고 하던데요.기준 중위소득이 높아져 혜택을 받을수 있는 대상이 많아 졌다고 하는데요 중위소득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숭늉한사발입니다.
모든 세대의 소득을 조사하여 오름차순으로 배열한 뒤 정확히 중앙에 있는 값을 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
평균소득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쉽게 5명으로 계산을 해본다면 소득이 월소득 1000, 800, 400 ,200, 100 인 사람이 있다치면 평균소득은 500이 되지만 중위소득은 5명중에 딱 중간인 3번째인 400이 되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듬직한개구리90입니다.
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 소득의 중윗값을 의미합니다. 즉, 모든 가구의 소득을 나열한 경우에 중간에 오는 중간값의 소득을 뜻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서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윗값을 의미하여 이는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근거합니다.
인플레이션 등 다양한 시장 경제의 영향으로 중위소득이 변화하게 되는데 올해 2024년에는 1인 가구 기준 2,228,445원 , 4인 가구 기준으로는 5,729,913원으로 기준 중위소득이 많이 올랐습니다. 이에 따라서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진행하는 다양한 정부 혜택에 해당하는 가구 기준이 달라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내가 이루고 싶어했던 꿈찾기.입니다.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말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국민의 총 가구의 월 세전 소득을 조사하여 오름차순으로 배열한 뒤 정확히 중앙에 있는 값으로 4인가구 기준으로 보면 572만원이 기준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자한땅돼지150입니다.
대한민국 국민의 총 가구의 월 세전 소득을 조사하여 오름차순으로 배열한 뒤 정확히 중앙에 있는 값이 바로 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
중위소득이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뜻합니다. 이는 통계청이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를 토대로 하여 전년도 중위소득 수치에 과거 평균 증가율을 적용해 결정합니다.
2015년 7월부터 기존의 수급자 선정 기준이었던 최저생계비를 대체해 정부의 복지정책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중산층 가구 비중을 고려할 때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기준을 따르는 사례가 많습니다. OECD에 따르면 중위소득의 50% 미만을 빈곤층, 50∼150%를 중산층, 150% 초과를 상류층으로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