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영특한독수리54
영특한독수리5423.01.22

개미는 어떻게 서로 소통하나요?

개미같은 경우 군집생활을 하고, 사회를 이루며 살아가는데 언어가 없이 어떻게 이런 사회를 이루나요?

의사소통은 어떤 방식을 사용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2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는데, 향기(페로몬), 접촉, 신체언어, 소리 등으로 의사소통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개미는 페로몬을 분비해서 동료 개미들이 길을 잃지 않도록 냄새 길을 만든다고 합니다. 이 냄새에는 경고, 집합, 식량 운반, 음식 교환, 영토 경계표시 등 다양한 의미가 들어있다고 합니다. 또한 개미는 더듬이 접촉을 통해서 동료에게 신호를 주고 따라오도록 한다고 합니다. 또한 개미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더듬이를 만지거나 쓰다듬는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는데, 냄새와 신체적 접촉이 결합되어 조금 더 고급스러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개미는 몸의 굴국진 부분에 다리를 긁어서 자신들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를 통해서 의사소통을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위기에 처한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서 소리를 통해서 구조요청을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페로몬을 통해 명령체계에따라 행동합니다.


    페로몬을 인식한 개미는 해당 반응에 의해서만 움직이게됩니다.


    예를들어 침입자가 발생하면 경보페로몬을 뿌려 해당 페로몬 근처로 많은 개미들이 몰려들도록 유도합니다.


    감사합니다.


  • 개미는 페로몬으로 서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길고 가늘며 움직일 수 있는 더듬이로 페로몬 냄새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요. 처음엔 약했던 냄새길이 개미들이 먹이를 들고 개미굴로 돌아오면서 냄새 길을 더 보강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