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비 제도가 생긴 시기는 언제가 최초인가요?
TV나 영화 사극을 보면 무조건 등장하는 노비가 있는데 이런 노비 제도가 생긴건 언제 어떤 이유로 생기게 됐는지 그 시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조선의 법률인 팔조법금(八條法禁) 중 세 개가 있다. 그중 세 번째가 노비에 관한 것이다. 절도범을 노비로 삼는다고 했다
노비제도가 중국 은나라 왕족인 기자가 세운 ‘기자조선’에서 기원했다고들 말한다. 기자조선을 인정하든 부정하든, 우리는 노비제도가 기자에게서 기원했다고 볼 만한 근거가 별로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노비제도가 기자에 의해 창시되었다는 주장의 근거로 활용되고 있는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를 보면 그 점을 알 수 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농업의 경우 기술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어 일국의 농민이 타국의 농토를 경작하는데 별다른 무리가 없어 고대 왕국들은 외국 노동력을 빼앗아 자국 농토에 배치하기 위해 전쟁을 벌였는데 이런 과정에서 노비들이 대규모로 양산되었고 이렇게 노비로 전락한 사람들이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노비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든 역사에서 신분 제도는 정착 생활을 시작 하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 부터 시작 되었을 것이라고 봅니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신분의 구분은 이미 고조선시기부터 언급된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전하는 고조선의 8조법 중 도둑질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구절이 그것 입니다. 삼국 시대에는 이르러 왕족과 귀족 및 평민과 노비와 같은 천민의 구분이 있었으며 고구려와 같은 부여계 나라의 경우 하호라고 하여 평민과 천민을 잘 구분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